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고조는 5세조 : 근거자료 제시)..내가 1세...아들이 2세손

페이지 정보

이준설 작성일10-07-18 10:24 조회272회 댓글5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spacer.gif
   
 
내가 1세, 부는 2세조, 조부는 3세조, 증조는 4세조, 고조는 5세조라는 뜻이지요..

 
아래 클릭한후에...

 
http://www.jkh38.co.kr/contents.htm

 
..바로 그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입니다...
즉 위 메뉴 {전통예절->상례->초종}으로 들어가면 제4편 상례 ,제1장 초종, 제4절 소렴(小斂), 단(袒), 괄발(括髮), 문(免), 좌(髽), 전(奠), 대곡(代哭)의 내용중에... ○袒括髮免髽于別室..의 해설에 그렇게 되어있고...

 
 또 위 메뉴 {관혼상제->상례->초종}으로 들어가도 (37)번의 내용중에  설명이 그렇게 되어있는 듯 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 관리자 본인은 그 내용이 틀렸다고 생각하시고 다음엔 수정할 것이라고 하셨으나...
제가 보기에는 그걸 수정하신다면   착오를 일으키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봅니다..
 

댓글목록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10-07-18 10:52

주자어류에도 이미 6세조는 고조의 父라고 돼 있고..(김장생의 사계전서에도 인용되어 있음)...주자는 여러 곳에서 자기가 1세조이고 1세손이라고 하고 있으나..주자의 학설을 해설한 구준이 잘 못 해석한 책을 발행하여 퍼뜨린 관계로..퇴계와 율곡을 비롯하여 동국18현 등 모든 학자들이 잘못 알게 됐다고 봅니다..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10-07-18 12:32

"예기대전"이라는 책자를 간혹 인용하면서 거기에 자기는 0세, 부는 1세, 조부는 2세, 증조는 3세, 고조는 4세라는 해석이 있으나 그 주석은 잘 못된 註를 달고 있다고 봅니다..본인이 1세이지.. 어떻게 부가 1세가 된다는 것인지..그 주석을 누가 달았는지..그 당시는 그렇게 해석했는지 모르겠으나..현세의 우리 상식으로는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지요..그 주석을 기준으로 하여 아마도 구준이 해설하고..모든 학자들이 따라 하는 듯 한데..분명 잘 못 된 것으로 봅니다..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10-07-18 16:38

예기의 원문에..{ 四世而緦. 服之窮也, 五世袒免. 殺同姓也, 六世. 親屬竭矣...}라는 구절을 해석하면서..{4세(증조)에는 시마이니..복이 궁하다..5세(고조)에는 단과문을 하니 동성의 은혜가 줄어들고..6세(고조의 父)에는 친족으로서의 소속감이 없어진다 }라고 해석하면 될 것을..여기서 굳이..증조인 4세를.. 고조라고 누군가 註를 달았기 때문에 거기서 모든 혼란이 온 것으로 봅니다.

번역문을 보면...

{주(註)의, 5대조를 같이하는 자[同五世祖者]

○ 《예기》 대전(大傳)에 이르기를,
“4세대의 선조나 자손에 대해서 시마복(緦麻服)을 입는 것은 상복이 궁해진 것이다. 5세대가 되는 자에 대해서는 단과 문만 하는 바, 동성의 은혜가 줄어든 것이다. 6세대가 되면 친속의 관계가 끊어지는 것이다.”
하였는데,
이에 대한 주에 이르기를,
“4세대는 고조이다. 고조를 같이하는 자는 시마복을 입는데, 상복은 여기에서 다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복이 궁해진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5세대가 되는 자에 대해서는 단과 문만 한다’는 것은, 고조의 아버지를 함께 이은 자는 서로 간에 단과 문을 할 뿐이라는 것으로, 이는 동성의 은혜가 줄어든 것이다. 6세대는 고조의 할아버지를 함께 이은 자로, 모두 단과 문조차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친속의 관계가 끊어지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라고 번역을 하였는데...
결국 여기서..4세가 고조라는 주를 잘 못 달아서..거기에 말을 맞추다 보니..
다음과 같은 틀린 번역이 나올 수 밖에 없었다고 봅니다..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10-07-18 16:42


즉 상복은.. 고조에서 상복이 다한다고 해 놓고서는..상복의 일종인 단과 문을.. ‘5세대(5대조:고조의 부)가 되는 자에 대해서는 단과 문만 한다’는 것은, 고조의 아버지를 함께 이은 자는 서로 간에 단과 문을 할 뿐이라는 것으로, 이는 동성의 은혜가 줄어든 것이다...라고 잘못 번역하여..고조의 부에게는 단과 문이라는 상복이 필요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고조의 부(5대조)에게도 상복을 입히게 됐고..

[맨위 본문자료와 같이..고조를 5세조라고 하는 경우에...]
예기 원문에는... [六世. 親屬竭矣]라고 돼 있는데..그 6세를 고조의 조부(6대조=7세조)로 잘못 번역하여..고조의 부(5대조=6세조)에서 "親屬竭矣"된 것으로 보아야 하는데도 불구하고..한 代를 더늘려 6대조(7세조)에서 ""親屬竭矣"된 것으로 해석하였으니..거기서 잘 못 주를 달았다는 것이지요..즉 고조의 부는 남으로 해석하여 상복을 입을 필요가 없는 것이 상식인데..그 4세가 고조라는 잘못된 주석때문에..모든 해석이 헷갈리게 되었다는 것입니다..혹시 모르지요..공자가 살던 3천여년 전에는..고조의 조부에서 친속이 끊어지는 것이 관습이었는지는 모르지만......요즘은 그렇게 해석하면 안 될 것입니다..
즉 4세(증조) 초상에는 시마복을..5세(고조) 초상에는 단과 문을..6세(고조의 父) 초상에는..남이니..일체의 상복을 입을 필요가 없으니..친족이라고 할 수가 없다라고 생각해야 될 것입니다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10-07-18 16:49

殺 [죽일 살,감할 살,빠를 쇄,맴 도는 모양 설,윗사람 죽일 시] ㉠죽이다 ㉡죽다 ㉢없애다 ㉣지우다 ㉤감하다(減--) ㉥얻다 ㉦어조사(語助辭) ⓐ감하다(減--)...

竭 다할 갈, 다할 걸
㉠다하다 ㉡없어지다 ㉢끝나다 ㉣엉기다 ㉤막히다 ㉥제거하다(除去--), 없애다 ㉦무너지다, 망가지다 ㉧(물이)마르다 ㉨짊어지다 ㉩말하다, 거론하다(擧論--) ㉪모두, 전부 다 ⓐ다하다 (걸) ⓑ없어지다 (걸)
예문> 孝當竭力(효당갈력) 甘井先竭(감정선갈) 殫竭心力(탄갈심력) 盡心竭力(진심갈력) 用之不竭(용지불갈)

矣 어조사 의
㉠어조사(語助辭) ㉡말 그치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