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 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 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치리는 법
  • 지방작성법

지방작성법

  • 홈
  • 전통자료실
  • 지방작성법

지방작성법

 

지방이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친 직후 태워버립니다. 

옛날에는 사진이 없어서 돌아가신 분에 대한 상징을 글로 표시하여 지방을 썼으나, 지금은 사진이 있으니 사진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면 더욱 좋습니다. 

보통 지방은 한자로 작성하여 왔지만, 요즘 들어서는 쓰기 쉽고 이해하기도 쉬운 한글지방을 사용하는 경우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

 

지방작성법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으나 전통적으로 깨끗한 한지를 폭 6㎝, 길이 22㎝ 정도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위쪽을 둥글게 오려서 사용합니다. 위를 둥글게 하고 아래쪽을 평평하게 하는 까닭은 천원지방(天圓地方:둥근 하늘과 평평한 땅)을 상징한 것입니다. 한 장의 지방에 남여 조상 두 분의 신위를 쓸 때는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은 남자조상을 쓰고, 오른쪽은 여자조상을 쓰며 세로쓰기를 합니다. 만약 여자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조상의 바로 오른쪽에서부터 계속 씁니다.

 

남자조상의 지방

heon1.gif

해석 및 용례

 

顯 : 존경의 의미로 지방 첫글자에 항상 붙음.

考 : 모시는 대상 표시. '考'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의미. 

아버지 : 顯考

할아버지 : 顯祖考

증조할아버지 : 顯曾祖考

고조할아버지 : 顯高祖考

백부 : 顯伯父

형 : 顯兄 

學生 : 조상의 지위 표시. '學生'은 관직이 없는 경우임. 관직,사회직함, 학위등이 있다면 그 명을 씀.(東來府使, 國會議員, 大法官, 社會事業家, 法學博士 등)

府君 : 제사 대상이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에 사용. 제사 대상이 자신의 아랫사람인 경우는 직접 이름을 씀.

神位 : 조상의 자리를 의미.

 

 

여자조상의 지방

heon2.gif

해석 및 용례

 

顯 : 존경의 의미로 지방 첫글자에 항상 붙음.

妣 : 모시는 대상 표시. '비'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 

어머니 : 顯妣

할머니 : 顯祖妣

증조할머니 : 顯曾祖妣

고조할머니 : 顯高祖妣

아내 : 亡室 

孺人 : 조상의 지위 표시. '孺人'은 지위가 없는 경우임. 관직,사회직함, 학위등이 있다면 그 명을 씀.(貞敬夫人, 利花女大總長, 社會事業家, 法學博士 등)

慶州李氏: 본관, 성씨 표시. 부인이 두분 이상인 경우 구분하기 위함임. 

神位 : 조상의 자리를 의미. 

 

※ 본 자료는 뿌리정보미디어에서 제공한 것으로서, 뿌리정보미디어와의 사전 협의없는 무단복제 및 도용을 금합니다.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