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염제신(廉悌臣) 신도비문(神道碑文)에 기록된 이송(李悚=李竦)
페이지 정보
休文 작성일11-12-19 20:40 조회199회 댓글1건본문
염제신(廉悌臣) 신도비문(神道碑文)에 기록된 이송(李悚=李竦)에 관련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봅니다.
염제신(廉悌臣) 신도비문(神道碑文)
출전 :
1) 牧隱文藁卷之十五 碑銘 - 高麗國忠誠守義同德論道輔理功臣, 壁上三韓三重大匡, 曲城府院君 贈諡忠敬公廉公神道碑 幷序
2) 東文選卷之一百十九 碑銘 - 高麗國忠誠守義同德論道輔理功臣, 壁上三韓三重大匡, 曲城府院君贈諡忠敬公廉公神道碑 幷序
3) 1708년(숙종 34, 戊子) 이조판서 홍수헌[洪受瀗:1640년(인조 18) ∼ 1711년(숙종 37)]이 찬(撰)한 염제신(廉悌臣) 신도비문(神道碑文) - 梅軒先生廉公神道碑銘 一依牧隱集所載付韱釐正(한결같이 목은집에 실린 것에 의거하여 종이 쪽지(籤/韱)를 붙여서 정리하여 바로잡은 내용으로 염씨가보에 실려있음)
이송(李悚=李竦)에 관련된 여러 기록
1) 牧隱文藁 → 次適中正大夫三司右尹李悚
.......... 중정 대부(中正大夫) 삼사 우윤(三司右尹)
2) 東文選 → 次適中正大夫三司右尹李悚
.......... 중정 대부(中正大夫) 삼사 우윤(三司右尹)
3) 梅軒先生廉公神道碑銘 → 次適推誠佐理功臣奉翊大夫密直使司右尹李竦
.......... 추성 좌리 공신(推誠佐理功臣) 봉익 대부(奉翊大夫) 밀직사(密直使) 우윤(右尹)이라 하였으나 정희계(鄭煕啓)의 관직이다. 정희계의 관직 이후 문장과 이송 앞쪽의 문장이 누락되어 마치 이송이 위 벼슬을 한 것으로 착각하게 한다.
아래는 목은집(牧隱集)에 출전하는 염제신 신도비문을 원문 그대로 전체를 옮겨 놓은 것입니다.
高麗國忠誠守義同德論道輔理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曲城府院君。贈諡忠敬公廉公神道碑。 幷序
上之九年歲在壬戌春三月。大平宰相曲城府院君年七十又九。病。公卿大夫日造門起居。子孫滿堂。朝夕奉湯藥。禱于上下。無不擧。上遣中官問疾。賜藥賜湭。嗚呼。人事可謂盡矣。而竟無效。嗚呼。其命也夫。公平生康強無久患。老而神彩益秀。人必其享年之彌高也。而至於斯。不曰命歟。公將病。訓子弟薄葬曰。吾死後三日下壙。毋煩有司。訃聞。上悼甚。宰相曰。曲城遺命葬用三日。不敢違也。至於有司供葬事。國典也。虧之。咎將誰執。且於公而不國葬。國葬之禮。施之何人乎。特集都堂。董攸司一無所闕。嗚呼。公之讓也。宰相之擧也。禮之所由生也。禮也者。國家之所以爲美者歟。臣職在紀纂。矧玆明諭刻銘神道。敢不奉敎。謹案。曲城姓廉氏。名悌臣。字愷叔。小字佛奴。瑞原大族也。遠祖諱顯。相文廟。取士成均。爲宰相。諱信若。相明廟。再知貢擧。位至大師。曾祖諱純彥。卒官小府丞。贈銀靑光祿大夫門下侍郞平章事,判吏部事。祖諱承益。興法佐理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都僉議中贊,上將軍,判典理監察司事。諡忠靖。相忠烈王與許侍中,趙侍中相次秉政。一時名公卿。無敢抗禮者。考諱世忠。卒官中顯大夫監門衛大護軍。妣嘉順宅主趙氏。推忠保節同德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判都僉議平壤府院君,諡貞肅諱仁規之女。以大德甲辰十月戊申。生公。六歲而孤。公內外侍中家蒙養已非常人比。年十一。姑夫中書平章末吉召置之左右。迎儒生授業者卜年。故其德器冠一世。泰定甲子。晉邸入繼大統。末吉公率公迓駕于和林。帝一見奇之。命公宿衛禁中。眷顧異常。末吉。大臣也。帝又親信。然以病不能朝。帝有所疑。必命公咨于家。其有所奏。公悉達之。大夫帖失旣誅。以女弟賜公。公曰。臣雖無知。不願近逆倘。帝愈重之。歲壬戌。請于帝。臣母久不見。願賜告帝感其言。降香金剛山。授金字圓牌。所以賁其行也。所以遄其歸也。是時。使者旁午。皆仗朝廷威靈。凌辱宰執。視守令如犬馬。公於宰相恭。於守令加禮貌。且無一事干謁于上。旣還。授尙衣使。至順辛未。又降香。愈益謹。父老曰。年雖少。不愧老成人。是眞內外侍中孫矣。至順癸酉。公以慈侍之故請于朝。出爲郞中征東。時同寮頗弄威福。公極力爭之。多所裁抑。田民詞訟。悉還攸司。忠肅王歎曰。廉郞中淸簡矣。左右司請署文移。上曰。吾郞中署乎。有則行。無則止。其曰吾郞中者。愛之故親之也。留公者九年。王薨。公曰。吾不可久留矣。會朝命以翊正司丞召。階奉訓大夫也。至正癸未。奉使江浙省。會計中政院錢貨。官吏多行賂求媚。公一切却之。丞相別哥不花公待以殊禮。及其入相。薦公於帝曰。老臣在江浙。知廉佛奴淸白過人。具以其事白帝。將用公。會大夫人病。力請歸覲。不果用。歲丙戌六月十七日。明陵曰。廉某事皇帝爲朝臣。佐我大父忠肅王爲幕官。共圖國政。在我今日。雖於本國未嘗仕。不可以常法論也。於是。拜匡靖大夫三司右使,上護軍。明年秋。加重大匡。賜輸誠翊戴功臣之號。俄轉都僉議評理。冬十二月。進贊成事。征東宰屬。欲問臺臣短長。大夫李公遂也。公以謂臺綱非所當撓。李大夫。一時之傑。其可辱乎。吾而不言。吾負吾學矣。入告事得寢。歲戊子。進判版圖司事。明年。有國䘏。政丞王煦朝于天子。委公庶務。公裁決平允。中外安焉。歲己丑。聰陵卽位。拜重大匡都僉議贊成事,判版圖。歲庚寅。奉國表賀聖節于京師。歲辛卯。玄陵卽位。欲用公。趙日新者。公外家也。以私憾沮之。日新敗之明年。上曰。廉某之賢。吾所知也。日新惡之甚。吾懼其不相能也。故不能用。今其可緩乎。復贊成事。甲午正月十一日。拜公端誠守義同德輔理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都僉議左政丞,判軍簿司事,上護軍,領景靈殿事。二月十六日。進右政丞,判典理,領孝思觀。餘竝如故。公方銳意用新庶政。其夏。蔡政丞河中以脫脫大師之勢。請兵于王。謀復職。公知之。乞退。上亦爲其所逼。用蔡而封公曲城。大師所召。皆宰相及驍勇人也。公亦在行中。至平壤。其驍勇輩謀曰。吾等離親族。左墳墓。以就死地。何日而旋歸乎。乃告於公。欲不行。公曰。非計也。吾君。天也。天可逃乎。且忠臣義士。豈宜有反側之言乎。與柳政丞濯。間道疾行。旣至都。上馳人請還公。帝曰。廉某。高麗之大臣。且大族也。其禮而遣之。賜宴徽政院以寵之。歲丙申。誅奇氏。命公屯師北鄙。大將印璫檀殺其副姜仲卿。國家恐其奔也。不卽討。命公以計誅之。軍不得亂。朝廷遣使者至境。問亂之所由生。公具陳奇氏覆國明徵。先發後聞之義。果廻天怒。曲赦一方。皆公應對之力也。其冬。以都元帥鎭北鄙。上授之節鉞。且曰。公行之後。吾不北顧矣。公對曰。臣亦不敢以米鹽干上聽。上喜曰。廉公。吾之萬里長城也。其治軍政。蒭糧爲先。城堡次之。器械次之。公雖素定於中。必咨於崔副使。副使。今之領三司公也。公之知人如此。其冬。拜開府儀同三司,上柱國,守門下侍中,上將軍,判兵部事,領景靈殿事。明年。進判吏部事,領孝思觀事。歲辛丑冬。公以滿盈辭位。士論皆曰。廉公掌銓選者五。未嘗以恩嫌私一人進退。是以。宗族雖多。未有處華要之職者。蓋淡乎其寡欲者矣。公之封侯。就第月餘。紅賊犯北鄙焉。歲壬寅。改壁上三韓三重大匡,曲城侯。扈駕移于尙。又移于淸。公與侍中尹公桓,李公嵒實從之。明年三月。又起公侍中。未幾丁母憂辭。歲乙巳。上用辛旽言黜陟。旽惡公不附己。譖於上。上不聽。歲己酉。以特進三重大匡。仍封曲城伯。旽又譖於上。上命公之子壻。諭以不可絶旽之意。公益堅所守。上於是益信公焉。兀羅城之役。諸將受公節制。不敢多殺人。旽敗。上愈重公。加公輔國二字。封邑依奮。親圖形賜之。納公女曰愼妃。封夫人權氏曰辰韓國大夫人。以三子登科廩夫人。故事也。其後仲子評理再知貢擧。當世歆之。歲癸丑。起公門下侍中。階兼如故。加以判開城。兼監春秋館事,曲城府院君。蓋所以寵之者至矣。倖臣金興慶多所請謁。公不暇貸。興慶有怨言。上曰。侍中學於中國。性且高潔。非他廷臣比。且大臣之用心。又非汝之所知也。興慶不敢復言。今上卽位。以公領門下事。又領書筵。五世元老故也。歲乙卯正月初五日。上喪畢。御正殿。宰臣上壽。公首陳爲君難。爲臣不易。親賢遠佞等語。辭意明簡。上爲之改容。拜公忠誠守義同德論道輔理功臣,領三司事。餘竝如故。丙辰十月。元朝禮部尙書翟欽來錫宣命資德大夫將作院使。公拜受。語使臣曰。臣老矣。乃蒙聖恩。末由圖報。區區之情。有如天地。歲丁巳。設都摠都監,訓鍊五部兵馬。以公判其事。歲己未。判門下事。歲庚申。移領三司事。其冬。復府院君。公旣老矣。國有大疑。宰相必請公及尹漆原會議。公斷然以爲己任。必盡言之。公治居第。不侈不陋。雖屢遷徙。必置別院。植花木如山林然。扁曰梅軒。焚香端坐。淡如也。客至設酌。殽饌極精潔。熏然而罷。風流蕭洒。望之如神仙。今年正月。同耆老拜玄陵。有所感。退而語諸子曰。吾以不才。蒙玄陵過擧。位侍中者二十又九年。年且七十九矣。而吾病屢作。吾必不久於世矣。乃有薄葬之命。三月初二日。感疾。十八日丁卯。卒于正寢。二十日己巳。葬于臨江縣大谷之原。公所卜也。嗚呼。公可謂無憾也已矣。上之遣中官判厚德府事金實問公也。公具衣冠。受御藥宮醞訖。謂實曰。公善爲老臣奏于上。上之所以念及老臣者。徒以臣嘗左右先君也。臣今殆矣。願上日愼一日。惟永終是圖。臣之願也。是日。謹妃,毅妃伻來賜宮醞。嗚呼。公可謂無憾也已矣。公凡再娶。完山郡夫人裴氏。重大匡完山君諱挺之女。早亡無子。辰韓國大夫人權氏。元朝朝列大夫太子左贊善,推誠同德協贊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醴泉府院君,領藝文館事,諡文坦諱漢功之女也。性勤儉。敎子嚴。平居。錦綺不加于身。先公病數年。公救藥久益勤。生三男五女。長曰國寶。推忠輔理功臣,重大匡,瑞城君,藝文館大提學。次曰興邦。忠勤翊戴燮理贊化功臣,前匡靖大夫門下評理兼成均大司成,藝文館大提學,上護軍。次曰廷秀。正順大夫密直司知申事兼判典儀寺事,右文館提學,知製敎,充春秋館修撰官,知典理內侍茶房事。女長適奉翊大夫密直副使洪徵。次適奉翊大夫判內府寺事,進賢館提學任獻。次適推誠佐理功臣,奉翊大夫密直使,上護軍鄭煕啓。次卽愼妃也。次適中正大夫三司右尹李悚。曰惠珠。通濟院住持。金氏出也。曰廣元。奉順大夫判司僕寺事。李氏出也。女適中郞將洪文弼。金氏出也。孫男女若干人。瑞城娶玄福君權公諱廉之女。生男。長曰致中。親御軍護軍。次曰致庸。典儀副令。女適司憲持平安祖同。評理娶宗簿副令趙文慶之女。生女。長適衛尉少尹林㮹。餘幼。知申事娶判典農寺事趙得珠之女。生女。幼。外孫男女若干人。密直男曰尙賓。成均學諭。次曰尙溥。散員。次曰尙淵。權務。皆中成均試。女皆幼。內府生男曰公緯。郞將。次曰公縝。別將。餘幼。女皆幼。密直使生男曰吉祥。中郞將。女幼。右尹生男曰佶。權務。次曰佾。幼。判事生男。幼。中郞將生女。幼。曾孫男女若干人。護軍娶典法判書朴思愼之女。生男曰怡。權務。副令娶密直提學尹邦晏之女。生男曰恂。權務。持平生男曰金剛。權務。餘幼。嗚呼。公之具五福而子孫逢吉者如此。天之厚於公者。其必有所以然者矣。世臣舊家之餘慶歟。忠君澤物之明驗歟。臣於此實有所興起焉。使如公者相繼於廟堂之上。則大平之期。豈不適當今日歟。嗚呼。公亡矣。嗚呼。公亡矣。臣穡謹拜手稽首而獻銘。銘曰。公在妙齡。揚翹帝庭。歸長省幕。理靜民寧。歷事五朝。揚國威靈。鎭之山嶽。動以雷霆。時之艱矣。公乃適丁。三軍效命。百度惟貞。生民是育。宗社是屛。以匡以直。以毒以亭。衆病以痊。群醉以醒。大平之目。神明所聽。於穆玄陵。親圖其形。豐功盛德。煥乎丹靑。展也元老。一國儀刑。胡不期頤。天地杳冥。有截原隰。川流冷冷。山止氣畜。有美泉扃。有突豐碑。上磨于星。千載勿訛。照我東坰。
高麗國忠誠守義同德論道輔理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 曲成府院君贈諡忠敬公廉公神道碑 幷序
고려국충성수의동덕론도보이공신벽상삼한삼중대광 곡성부원군증시충경공염공신도비 병서
高麗國忠誠守義同德論道輔理功臣 |
고려국 충성수의동덕론도보리공신 | |
嗚呼人事可謂盡矣 而竟無效 公平生康强無久患 老而神彩益秀 |
|
|
上悼甚 宰相曰 曲城遺命葬用三日 且於公而不國葬 國葬之禮 施之何人 嗚呼公之讓也 宰相之擧也 禮之所由生也 禮也者 國家之所以爲美者歟 |
|
|
遠祖諱顯 相文廟取士成均 爲宰相 曾祖諱純彦 卒官小府丞 祖諱承益 興法佐理功臣壁上三韓三重大匡都僉議中贊上將軍判典理監察司事諡忠靖 相忠烈王 與許侍中趙侍中 相次秉政 一時名公卿 無敢抗禮者 |
|
삼가 상고하건대, 곡성의 성은 염씨요 이름은 제신이며, 자는 개숙이고 소자는 불노인데 서원의 대족이다. |
妣嘉順宅主趙氏 推忠保節同德功臣 生公 六歲而孤 公內外侍中家蒙養 |
|
|
大夫帖失旣誅 以女弟賜公 歲壬戌(丙寅) 請于帝 臣母久不見
是時使者旁午 皆丈朝廷威靈 公於宰相恭 於守令加禮貌 |
|
|
至順辛未 至順癸酉 公以慈侍之故 時同寮頗弄威福 公極力爭之 忠肅王歎曰廉郎中淸簡矣 |
|
|
公曰吾不可久留矣 會朝命以翊正司丞召 會大夫人病 力請歸覲 不果用 |
|
|
明年秋 加重大匡賜輸誠翊戴功臣之號 冬十二月 進贊成事 征東宰屬 公以謂臺綱非所當撓 李大夫一時之傑 |
|
공이 이르기를, "어사대의 기강은 의당 흔들려서는 안되는 것인데, 더구나 이대부는 한 시대의 호걸이거늘 그를 모욕해서 되겠는가. 내가 여기에 대해서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면 내가 나의 학문을 저버리는 것이다" 하고는, 들어가서 그 사실을 고(告)하여 일이 잘 무마되었다. |
歲己丑 聰陵卽位 歲庚寅 奉國表賀聖節于京師 歲辛卯 玄陵印位 欲用公 趙日新者 上曰廉某之賢 吾所知也 日新惡之甚 |
|
조일신이 패망한 다음해에 상(上)이 말하기를, "염모의 현능함은 내가 잘 아는 바이나 조일신이 염모를 매우 미워하므로 나는 둘이 서로 잘 지내지 못할까 두려워서 염모를 등용하지 못했었다. 그런데 지금이야 더 이상 늦출 수 있겠는가" 하고는. 찬성사에 복직시켰다. |
二月十六日 進右政丞判典理 公方銳意 用新庶政 其夏蔡政丞河中 公知之乞退 上亦爲其所逼 大師所召皆宰相及驍勇人也 何日而旋歸乎 乃告於公欲不行 上馳人請還公 帝曰廉某 高麗之大臣 |
|
그러자 공이 말하기를, "그렇게 하는 것은 옳은 계책이 아니다. 우리 임금은 하늘인데 하늘의 명을 어찌 도피할 수 있겠는가. 또 충신 의사치고 어찌 그런 부도한 말을 해서 되겠는가" 하고는, 정승 유탁과 더불어 사잇길을 따라 째빨리 달려서 원나라 수도에 당도하였다. |
其冬 以都元帥鎭北鄙 上授之節鉞 且曰公行之後 吾不北顧矣 公對曰臣亦不敢以米鹽干上聽 副使 今之領三司公也 其冬 拜開府儀同三司上柱國守門下侍中上將軍 判兵部事 領景靈殿事 |
|
|
歲壬寅 明年三月 又起公侍中 未幾丁母憂辭 |
|
|
封夫人權氏曰辰韓國大夫人 |
|
|
言 上曰 侍中學於中國 性且高潔 歲乙卯正月初五日 上喪畢御正殿 親賢遠侫等語 辭意明簡 上爲之改容 |
|
|
歲丁巳 設都摠都監 訓鍊五部兵馬 歲己未 判門下事 歲庚申 移領三司事 |
|
|
上之遣中官判厚德府事金實問公也 是曰 謹妃毅妃使來賜宮醞 |
|
이날 근비와 의비도 사자를 보내와 궁온을 하사하였다. 아, 공은 참으로 유감이 없다 하겠다. |
長曰國寶 次曰興邦 次曰廷秀 正順大夫密直司知申事兼判典儀寺事 右文館提學知製敎充春秋館修撰官 知典理內侍茶房事 女長適奉翊大夫密直副使洪徵 |
|
재취인 진한국대부인 안동권씨는 원조의 조열대부 태자좌찬선으로 추성동덕 협찬공신에 벽상삼한삼중대광이 되고 예천부원군에 봉해졌으며 벼슬이 영예문관사에 이르렀고 시호가 문탄인 휘 한공의 딸이다. 부인은 성품이 부지런하고 검소하며 자식들을 엄하게 가르쳤다. 평상시에 비단옷을 몸에 걸치지 않았다. 공보다 먼저 수 년 동안 병환을 겪었는데, 공은 부인의 병을 구완하면서 시간이 오랠수록 더욱 부지런히 하였다. 큰아들은 국보인데 추충보리공신으로 삼중대광이 되고 서성군에 봉해졌으며, 벼슬은 예문관 대제학에 이르렀다. 큰딸은 봉익대부 밀직부사 홍징에게 시집갔고, 그 다음은 봉익대부 판내부시사 ·진현관 제학 임헌에게 시집갔고, 또 다음은 추성좌리공신으로 봉익대부 밀직사사 ·상호군 정희계에게 시집갔고, 또 다음은 바로 신비(공민왕의 후궁)이다. 또 다음은 중정대부 삼사우윤 이송에게 시집갔다. 또 서자 혜주는 통제원의 주지인데, 김씨 소생이고 또 광원은 봉순대부 판사복시사인데, 이씨 소생이고 또 서녀는 중랑장 홍문필에게 시집갔는데 김씨 소생이다. |
次曰致庸 典儀副令 生女長適衛尉少尹林緻 餘幼 外孫男女若干人 |
|
다음 치용은 전의부령이고, 딸은사헌부 지평 안조동에게 시집갔다. 평리는 종부부령 조문경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큰딸은 위위소윤 임치에게 시집갔고, 나머지는 어리다. 지신사는 판전농시사 조득주의 딸에게 장가들어 딸을 낳았는데 아직 어리다. 외손 남녀가 약간 명이다. |
忠君澤物之明驗歟 |
|
|
公在妙齡 揚翹帝庭 時之艱矣 公乃適丁 大平之目 神明所聽 |
|
신(臣) 색(이색)은 삼가 머리를 조아리고 다음과 같이 명(銘)을 써서 바친다. 공은 어린 나이에 천자의 조정에 이름 날렸네 그 어려운 시기를 공이 마침 만났는데 태평재상이란 지목은 신명이 들어 아는바라 |
교열 任正基(민족문화추진회 전문위원) |
국역 임정기(민족문화 추진회 전문위원) |
=====================================
■ [넓은벌] 判書公 諱 悚의 長男 諱 佶은누구인가? (2011-12-18 19:57)
翼襄公實記(1792년 直閣 趙秉輯撰?)의“公諱蕆初諱佶”이라는 기록은 誤謬일 가능성이 있다. 곧, ‘諱蕆 諱佶은 同一 人物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忠敬公廉公神道碑(1382년‹우왕8년›에 牧隱 李穡 撰)의 碑文에,
“廉悌臣(1304-1382)의 다섯째 사위는 中正大夫三司右尹 李悚인데, 長子 佶은 權務이며, 둘째 佾은 어리다.”라고 되어 있다.
이 기록대로라면, 軍府判書公 휘 悚의 長子 佶을 익양공(翼襄公) 휘 천(蕆:1376년∼1451년)으로 比定했을 때, 翼襄公은 7세에 이미 벼슬을 하였으며, “1393년에 別將으로 처음 벼슬을 했다.”는 實錄의 翼襄公 관련 기록과도 정면 背馳된다.
翼襄公의 初名이 길(佶)이 아니라면 佾은 누구이며, 휘 蕆, 휘 鞰과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의문만 더해질 뿐이다.
佾과 僧은 글자 모양이 비슷하다.
댓글목록
불곰님의 댓글
![]() |
불곰 |
---|---|
작성일 |
◆◆◆ 알찬 답변주시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