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判書公 諱 悚의 長男 諱 佶은누구인가?

페이지 정보

넓은벌 작성일11-12-18 19:57 조회312회 댓글9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翼襄公實記(1792년 直閣 趙秉輯撰?)의“公諱蕆初諱佶”이라는 기록은 誤謬일 가능성이 있다. 곧, ‘諱蕆 諱佶은 同一 人物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忠敬公廉公神道碑(1382년‹우왕8년›에 牧隱 李穡 撰)의 碑文에,

“廉悌臣(1304-1382)의 다섯째 사위는 中正大夫三司右尹 李悚인데, 長子 佶은 權務이며, 둘째 佾은 어리다.”라고 되어 있다.

이 기록대로라면, 軍府判書公 휘 悚의 長子 佶을 익양공(翼襄公) 휘 천(蕆:1376년∼1451년)으로 比定했을 때, 翼襄公은 7세에 이미 벼슬을 하였으며, “1393년에 別將으로 처음 벼슬을 했다.”는 實錄의 翼襄公 관련 기록과도 정면 背馳된다.

翼襄公의 初名이 길(佶)이 아니라면 佾은 누구이며, 휘 蕆, 휘 鞰과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의문만 더해질 뿐이다.

佾과 僧은 글자 모양이 비슷하다.

댓글목록

불곰님의 댓글

profile_image 불곰
작성일 11-12-19 07:19

◆◆◆ 넓은벌님!!! 익양공(翼襄公 諱 蕆)의 흥미로운 자료를 올려주시어 감사합니다.

◆◆◆ 소생이 익양공(휘천) 실기비명에 대하여 부질없는 말씀을 올리려고 합니다.

1. 익양공(휘천) 실기비명<翼襄公(諱蕆) 實記碑銘>을 저술한 년대가 <先生 歿後 六壬子(一七九二)年 十月  日>이라고 기록한 기미대동보(1979년 발간)의 기록은 오류(誤謬)입니다.

2. 또한 < 先生 歿後 六壬子(一四九二)年 十月  日>이라고 기록한 예안이씨 정해보(丁亥譜 2007년 발간)의 기록도 오류(誤謬)입니다.

3. 익양공(휘천) 실기비명의 찬자(撰者)인 통정대부 전성균관대사성 원임규장각 직각 조병집(通政大夫 前成均館大司成 原任奎章閣 直閣 趙秉輯)의 출생년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찬자 조병집(撰者 趙秉輯)
    • 본관▶▶풍양조씨(豊壤趙氏)
    • 1860年哲宗庚申生
    • 1933年癸酉1月18日卒
    • 墓▶▶淸原郡加德面上垈里子坐

4. 따라서 익양공(휘천) 실기비명을 저술한 년대는 정확히 익양공 몰후 8임자(八壬子)로서, 서기 1912년 즉 왜정 초기(大正元年으로 전의예안이성종약휘보 창간 13년전)입니다.

5. 하므로, 족보상에 최초로 수비(竪碑) 기록이 등재된 것이 정묘대동보(1927년)입니다.

불곰님의 댓글

profile_image 불곰
작성일 11-12-19 09:33

◆◆◆ 조병집(趙秉輯)의 생애

조병집(趙秉輯) 1860년(철종 11)生 ∼ 1933년 1월 18일卒

자(字)는 치오(稚五). 본관은 풍양(豊壤).

이조판서 조돈(趙暾)의 증손이며 이조판서 조헌영(趙獻永)의 아들이다.

1886년(병술) 봄, 도기 유생(到記儒生)들에게 강경(講經)과 제술(製述) 시험을 보일때, 급제(及第)하여 규장각 직각(奎章閣直閣)이 되었다. 대사성(大司成), 승지(承旨)에 이르렀고 1933년(계유) 1월 18일에 생을 마쳤다.

묘는 충청북도 청원군 가덕면 상대리 자좌오향이다.

배우자는 숙부인으로 증직된 연안이씨로서 아버지는 연익(璉翼)이다. 1858년(무오)에 태어나 1890년(경인) 7월 19일 생을 마쳤으며 소생으로 딸 하나가 있다.
묘는 충주 살미면 입평 뒤쪽의 독골산에 손좌건향으로 있다.

후배는 숙부인 청주한씨로 아버지는 치억(致億)이다. 1892년(임진) 11월 15일 생을 마쳤고 소생으로 두 아들이 있다.
묘는 상대리 뒤쪽 산기슭에 유좌묘향으로 있다.

[용어해설]
▶ 도기 유생(到記儒生) : 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들이 식당(食堂)에 출입한 횟수를 적는 부책(簿冊)을 도기(到記)라고 하는데, 아침·저녁 두 끼를 1도(到)로 하여 50도가 되면 과거 볼 자격을 얻게 된다. 이 자격을 얻은 유생을 도기 유생(到記儒生) 또는 원점 유생(圓點儒生)이라고도 하는데 50도가 되면 봄·가을 과거를 보게 하였다. 이 자격을 얻은 유생에게 봄에 보이는 과거를 춘도기(春到記)라 한 데서 춘도기 유생(春到記儒生)이라 하고, 가을에 보이는 과거를 추도기(秋到記)라 한 데서 추도기 유생(秋到記儒生)이라 하였다. 반제(泮製).

불곰님의 댓글

profile_image 불곰
작성일 11-12-19 09:50

◆◆◆ 염제신에 대하여 문의올립니다.

1. 염제신의 생졸년대와 관력

2. 염제신의 자녀(子女)의 휘(諱)와 생졸년대와 관력

3. 어려운 부탁이오나 알려주시기 소망합니다.

넓은벌님의 댓글

profile_image 넓은벌
작성일 11-12-19 19:55

염제신(1304-1382)의 슬하 3남 5녀(충경공신도비 비문에 나타난 3남 5녀)
공의 아들 3형제는 공민왕 재위기간(1351-74)에 모두 과거에 급제한 경사가 있었다. 즉, 1남 국보는 1355년(공민왕 4)에 급제, 2남 흥방은 1357년(공민왕 6)에 장원 급제, 3남 정수는 1370년(공민왕 20)에 급제했다.

1녀 : 홍 징 과 혼인. 홍 징(洪徵, 봉익대부 밀직부사; 홍길동의 조부).
2녀 : 임 헌 과 혼인. 임 헌(봉익대부 판내부시사 진현관제학)
3녀 : 정희계 와 혼인. 정희계(추성좌리공신 봉익대부밀직사사 상호군),
 무진참화 때 우리 염문과 관련된 사람 중 생존자의  한 사람이다.
4녀 : 공민왕의 5번째 왕비가 되심. 신비염씨(愼妃廉氏)라 함.
5녀 : 이송과 혼인. 이송(숭정대부 판중추 군부판서, 예안이씨 득관조)
 숭정대부 판중추 전법 군부판서 이송께서는 사전개혁에 반대하다가  이 화에 연루 적몰 되었으니 이로 인하여 이송의 할아버지 되시는
 제학공(提學公)께서 부득이 본관을 禮安으로 예안이씨(禮安李氏)로
 이적(移籍)하였으리라 추측이 된다(예안이씨 홈)
서자와 서녀: 그밖에 김씨와 이씨되시는 분으로부터 서자와 서녀를 두셨는데, 혜주는 통제원의 주지로 김씨 소생이고, 또 광원은 봉순대부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로 이씨 소생이고, 신도비문의 기록으로는 중랑장 홍문필에게 시집간 김씨 소생의 서녀가 있고, 한성부판윤 초계변씨 변남용에게 시집간 서녀가 있는 것으로 본다.(파주염씨 전자족보에서 인용했으며, 그 밖에  자세한 내용은 파주염씨 전자족보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

休文님의 댓글

profile_image 休文
작성일 11-12-19 21:21

변남룡에게 시집간 곡성염씨는 서녀가 아니라 이송의 아내입니다. 이송이 죽자 재가한 것입니다.

익양공실기(翼襄公實記)를 찬한 조병집(趙秉輯)은 본관이 풍양(豊壤)으로 1860년(철종 11)에 태어나 1933년 1월 18일에 졸하였습니다. 문과에 급제하여 규장각 직각(奎章閣直閣), 대사성(大司成), 승지(承旨)에 이르렀던 인물입니다. 또한 조병집 집안은 권력의 핵심에 있으면서 조정에 맹위를 떨쳤던 세도가문이었습니다.

익양공실기가 1792년에 지어졌다고 한다면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사람이 지은 것이 되는데, 참으로 있을수 없는 일입니다.

불곰님의 댓글

profile_image 불곰
작성일 11-12-19 21:59

◆◆◆ 알찬 답변주시어 감사합니다.

넓은벌님의 댓글

profile_image 넓은벌
작성일 11-12-20 14:48

  저처럼  考,老를 구별 못하는 사람의 횡설수설보다는 화수회의 碩學들께서 활발한 논의를 펼치시어 宗統을 바로 잡아 주십시오.
  호리의 차이가 점점 커져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까지 올 수가 있습니다. 僞作은 僞先을 만듭니다.
  불곰님과 휴문님의 댓글은 저같은 문외한에겐 처음 듣는 익양공실기에 관련된 놀라운 일입니다. 어쩌다가 이 지경에 이르렀는지, 진실되고 의심가는 것은 남겨두고  이젠 거짓된 위선숭조 사업은 멈춰야 합니다.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11-12-24 09:13

위에...{5녀 : 이송과 혼인. 이송(숭정대부 판중추 군부판서, 예안이씨 득관조) }..라고 했는데..득관조=시조..인데..이송이  예안이씨 시조..라 하다니..착오이지요..

넓은벌님의 댓글

profile_image 넓은벌
작성일 11-12-25 10:03

"5녀 : 이송과 혼인. 이송(숭정대부 판중추 군부판서, 예안이씨 득관조)"라는 말은 파주염씨 전자족보에서 인용했습니다.
정말 의문은 왜 이런 거가대족이 遠祖를 알 수 없고, 禮安으로 移籍한 사유가 불분명한가 입니다. 정확한 계대를 모를 땐 다른 가문들은 대부분 顯祖를 시조로 하여 계대를 이어오고 있습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