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Re.. 이장득 선조에 대한 부연설명

페이지 정보

休文 작성일11-12-13 11:26 조회278회 댓글0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이연(李涓) -- 이장득의 아들
1457년(세조 03) 8월 계공랑(啓功郞)으로 좌익 원종 공신(佐翼原從功臣) 3등에 녹훈(錄勳)되었고 1467년(세조 13) 3월 통덕랑(通德郞) 연산현감(連山縣監)으로 재직하였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사마방목(司馬榜目), 좌익원종공신녹권(佐翼原從功臣錄券)
◆계보(系譜) [족보1권 50]
 
이신의(李愼意) --- 이장득의 손자
1480년(성종 11)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식년진사 3등(三等) 57위
자 자성(子誠)
본관 전의(全義)
거주지 광주(光州)
전력 유학(幼學)
[부]
성명 : 이연(李涓)
관직 : 연산현감(連山縣監)
품계 : 통덕랑(通德郞)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문중의 판사공(判事公) 장득(長得)파의 파조(派祖)는 이장득(李長得)이다. 이성남(李成南) 일가님의 17대조이기도 한 이장득(李長得)에 관한 전의이씨성보(全義李氏姓譜)에 관한 기록은 오기(誤記:잘못 기록함)임이 분명하다. 판사는 후에 정(正)이라는 관직으로 바뀌었다.
━━━━━━━━━━━━━━━━━━━━━━━━━━━━━━━━━━━━━━━━━━━━━━
이장득(李長得)은 1422년(세종 04) 12월 전(殿)의 행수(行首)로 있었으며, 호군(護軍), 지군사(知郡事)를 거쳐 판사(判事)를 지냈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 전의이씨성보(1574년), 안동권씨성화보(1476년), 문화류씨가정보(1565년) 
━━━━━━━━━━━━━━━━━━━━━━━━━━━━━━━━━━━━━━━━━━━━━━
 
지금의 보첩(譜牒)에서는 광록대부 국자감판사라고 적고 있다. 광록대부(光祿大夫)는 고려시대 문관의 관계(官階)였으며, 국자감판사도 마찬가지로 고려시대의 관직이다.
이장득은 고려시대 벼슬을 한 인물이 아니다. 이는 조선왕조실록중의 세종실록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즉 “이장득(李長得)은 좌대언(左代言) 권도(權蹈)의 처형(妻兄)이다.”라고 확실하게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이장득의 누이는 1385년(우왕 11) 4월 20일생이며 1468년(세조 14) 12월 28일 84세로 졸하였다.
 
권도(權蹈) = 권제 1387(우왕 13)∼1445(세종 27)
권도(權蹈)가 누구인가? 이장득의 아버지인 이준(李儁)의 사위가 바로 권도가 되는 것이다.
권도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고려 정승 권부(權溥)의 고손이며, 검교 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의 손자로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네 아들중 둘째 아들로 1387(우왕 13)년에 태어났다. 1437년(세종 19) 권도(權蹈)는 세종대왕의 이름인 이도(李도)와 [음(音)이 같아] 권제(權제:*路자에서 各이 빠지고 是가 들어간 글자)라는 이름으로 改名하였다. 권제는 이조 판서, 예조 판서 등을 거쳐 의정부 우찬성을 지내고 1445년(세종 27) 卒하였다. 시호(諡號)는 문경(文景)이다.1-209
 
권제는 전의이씨 이장득의 누이 전의이씨(全義李氏)사이에서 6남 3녀를 두었다. 아들은 ★양평공(良平公) 권지(權摯)·★우의정(右議政)을 지낸 길창 부원군(吉昌府院君) 익평공(翼平公) 권남(權覽)·★화산군(花山君) 안양공(安襄公) 권반(權攀)·★연천 현감(漣川縣監) 권마(權摩:권휘라고도 함)·★의영고사(義盈庫使) 권혈(權혈:권설이라고도 함)·★영가군(永嘉君) 양정공(襄靖公) 권경(權擎)이다. 딸은 ☆강릉 대도호 부사(江陵大都護府使) 박대손(朴大孫:밀양인), ☆현감(縣監) 김모(金模:연안인), ☆서원군(西原君) 한명진(韓明진:청주인,한명회(韓明澮)의 동생)에게 출가하였다.
권제의 네째아들인 권휘의 4대손이 바로 행주대첩으로 유명한 권율(權慄) 장군이다.
 
이장득의 아들인 이연(李涓)에 대한 보첩의 기록은 “고려조문과 중정대부 연산현감 여망후 정언으로 서임되었으나 불취기관하고 남하하여 광주 웅장리에 은거”라 적고 있다. 이연의 아들인 이신의(李愼意)가 1480년(성종 11) 식년(式年) 진사(進士)시에 광주(光州)거주 유학(幼學)으로서 합격하였다. 이 기록에서도 이연(李涓)의 품계 및 관직이 통덕랑(通德郞) 연산현감(連山縣監)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연대를 살펴보면 고려시대가 아닌 조선시대 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의 기록을 종합해볼때 이장득(李長得)은 1380년경 이후에 출생한 것이 확실해진다. 이장득의 아들 또한 출생이 1400년 이후에 이루어진 것은 분명하다 하겠다.
 
※의정부 우의정(議政府右議政)을 지낸 창성 부원군(昌城府院君) 성봉조[成奉祖:1401(태종 1)∼1474(성종 5)]가 22세때인 1422년(세종 04) 12월에 이장득(李長得) 등과 같이 행수(行首)로 있었다. 1474년(성종 05) 9월 27일 성봉조(成奉祖)의 졸기(卒記)를 살펴보면, 처음에 음보(蔭補)로 상왕전(上王殿)에 소속되어 있는 순승부 행수(順承府行首:인수부(仁壽府)로 명칭변경됨)를 역임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장득(李長得) 또한 각전(各殿)의 행수(行首) 중의 한 사람이었으므로, 계성전(啓聖殿), 문소전(文昭殿), 광효전(廣孝殿), 혼전(魂殿), 상왕전(上王殿), 대비전(大妃殿), 주상전(主上殿), 대전(大殿), 정비전(靜女比殿), 공비전(恭妃殿), 성비전(誠妃殿), 세자전(世子殿), 중궁전(中宮殿) 등의 각전(各殿)의 행수(行首)를 지낸 것이 틀림없다. 공안부(恭安府), 인녕부(仁寧府), 경승부(敬承府) 행수(行首) 따위가 그것이다.
 
조선초기에는 고려시대의 전례를 따라서 양전(兩殿) 및 세자궁의 행수(行首)·견룡(牽龍)을 두었다. 행수(行首)·견룡(牽龍)의 상복(喪服)은 백관(百官)과 같았다. 각전(各殿)의 행수(行首)는 4품(品)에서 거관(去官)하였는데, 1406년(태종 06) 2월 대전 행수[大殿行首:주상전 행수(主上殿行首)] 외에는 모두 5품에서 거관하도록 하였다. 1408년(태종 08) 12월에 이르러 행수(行首)와 견룡(牽龍)의 천전법(遷轉法)을 채택하여 정비하였다. 이때 강등(降等)하여 7품 거관으로 하였다. 따라서 1422년(세종 04) 이장득(李長得)이 행수로 재직시에는 7품이하의 관직이었음이 구명되었다. 1431년(세종 13) 6월 대전(大殿) 및 세자궁은 충의위(忠義衛)·내금위(內禁衛) 등에서, 중궁(中宮)은 환관(宦官)으로 대신하고 행수(行首)와 견룡(牽龍)을 폐지하였다. "거관(去官)"이란 1418년(세종 즉위년) 8월 11일의 세종실록 記事에 이르기를 "시속에서 벼슬의 임기가 차서 갈리는 것을 다 거관(去官)이라고 말한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행수(行首)는 각 관아의 같은 계품(階品)의 관리 가운데 가장 우두머리(首長)에 해당하는 관원으로, 실무(實務)를 나누어 맡아 처리하거나 또는 그러한 관원을 관리하였다.
각전(各殿)의 방지기[房直]와 각 청(廳)의 성상(城上)과 각사(各司)의 성상(城上)을 그전에는 모두 기인(其人)으로써 충원하였고, 각사(各司)의 노비가 기물(器物)을 맡아 지키는 사람을 성상(城上)이라 하였다. 또한 각전(各殿)의 진상 물선(進上物膳:약칭하여 진선(進膳)이라 하는데, 진선이란 각도에서 서울의 각전(各殿)에 매달마다 바치던 물선(物膳)을 말한다.)을 맡아 보는 자 등 여러 사람들이 있었는데, 이렇게 실무(實務)를 맡아 처리하거나 이들을 관장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
■ [蟾岩(이성남)] 인경소식 12월호에 기록된 장득할아버지.. (2011-12-12 14:16)

전의이씨 대사성공 판사공 장득파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장득할아버지에 대한 역사적 고증

 


1388년 이성계 위화도 회군

1381년 장득할아버지 광록대부국자감판사(오류) 족보기록

1392년 포은정몽주 이방원에게 참살(장득할아버지 포은 둘째사위)

1394년 공양왕 사사

------------------------------------------------------------

조선왕조 실록에 기록된 장득할아버지에 대한기록 3건

 


1422년(세종4년) 이장득할아버지 (그당시 벼슬 행수)

 


1455년(세조1년) 이철명할아버지(그당시 벼슬 사정)원종공신으로 녹훈

 


=>장득할아버지께서 고려말 광록대부국자감판사(1381년)를 지내셨다면 손자인

철명할아버지께서 기록된 조선왕조실록 벼슬(사정.1455년)하실 때 까지 기간이

무려 74년 차이가 있슴

 


1455년 졸한 의정부우찬성 권제(도)는 장득할아버지 매부이면 고려사를 집필한

권제가 처남인 장득할아버지 벼슬을 기록하지 않은 이유가 없을 것이다

고려사에 장득할아버지 벼슬에 대한 기록이 없슴

 


위를 미루어 역사적 기록으로 볼 때 장득할아버지께서는 조선 세종 때 벼슬을

하셨다

역사적으로 기록된 사항을 왜곡하는 것은 후손된 도리가 아니다

지금부터라도 바로 잡아 나아가야 한다.

 


이성남=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우양=>재검=>득형=>학수=>연환=>봉규=>병기=>성남)


 

주소 : 전북 익산시 삼기면 오룡리 793번지


 

직장 : 원광대학교 총무팀(011-680-7702)


 

고향 : 전남 영광군 대마면 복평리 섬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