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丁卯大同譜

페이지 정보

넓은벌 작성일11-11-01 17:43 조회667회 댓글5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丁卯大同譜》4쪽, 〈成化草譜序〉에 “李氏出於全義而蔓然東方禮安之李亦一源也”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成化草譜〉는 현존하지 않고 서문만이 후대 족보에 실려 전한다.


 같은 책 25쪽, 〈청강공(淸江公)께서 안로공(安璐公)에게 보낸 편지〉내용 중에, “文莊公께서 文義公에게 주신 시를 族譜에 실어 전하지 않는다면 흠결이 되지 않겠습니까?” 하고, 바로 “문장공(文莊公)은 불행히도 자손이 없지만 정당공(政堂公)은 지금 우리 판부태감(判府台鑑)의 직계 선조입니다.”라는 글이 실려 있다.


 또 상편 2쪽엔 大將軍 彦昇의 둘째아들로 檢校僉議政丞 ‘지저(之氐)’가 실려 있으니, 의혹만 증폭될 뿐이다.


〈成化草譜〉를 보지 못했고, 〈淸江公與安公書〉도 역시 정묘대동보를 통하여 본지라, 원문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 수가 없다.


 文莊公과 文義公의 赫赫한 業績을 高揚하는 일 못지않게 上系를 硏究하여 바로잡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新編大東韻玉에는“(全義)王太祖功臣太師李棹之後 (禮安)李之氏檢校僉議政丞 初封禮安 

     君  後改封承安君”이라는 기록이 보인다.

댓글목록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11-11-02 18:05

정당공은..족보를 찾아보면 보이겠지만..

大將軍 彦昇의 둘째아들로 檢校僉議政丞 ‘지저(之氐)’의 기록이 있는 듯 한데..중요한 자료이지요.

上系를 硏究하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는데에 동감입니다.

넓은벌님의 댓글

profile_image 넓은벌
작성일 11-11-02 20:36

  정당공(政堂公)은 정당문학을 지낸 문의공을 뜻하는데,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에는 거의 기록이 없고 동문선에 묘지명이 실려 있어 관력과 집안 내력을 알 수 있습니다. 묘지명은 상당히 명문으로 문의공의 일생이 어떻했는 지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10살 남짓에 선친께 전의이가 문의공파 몇대손이요, 청백공파 몇대손이라는 가르침을 받고 큰소리로 또박또박 말했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또 우리마을은 모두 문의공 후손이 사는 집성촌인데, 노자 항렬의 전서공파 1가구가 사셨습니다. 이 어른의 별호가 동성타성을 막론하고 아무개 대부였습니다. 이는 우리 이성만의 자랑이며, 동조의 후손이라는 끈끈한 유대가 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됩니다.
 우리 소문중의 잘못된 위선사업을 바로잡으려고 했던 일은 차치하더라도, 고려시대 사셨던 선조의 상계를 하나 둘 연구하고 배우는 것도 후손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여깁니다.
 핵심을 짚어가며, 감정적으로 대하지 말고, 차분히 연구하고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11-11-03 22:07

동감입니다...

넓은벌님의 댓글

profile_image 넓은벌
작성일 11-11-23 19:01

新編大東韻玉에 전의 이씨에 이어 禮安 李氏 李之氏(初封禮安君,  後改封承安君)를 붙여 기록함은 함의하는 바가 많다. 承安君은 初封禮安君이니, 그는 분명 禮安 李氏의 시조가 틀림없을 것이다. 그분의 상계와 하계를 밝혀내는 일은 비단 예안이씨의 영광과 감격만은 아닐 것이다. 지금도 점잖게 중앙도서관에서 뿌리찾기에 열중인 백발의 어른들의 열공에 고개가 숙여진다.

능선님의 댓글

profile_image 능선
작성일 11-12-25 15:23

넓은별님!!!! 공감합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