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우리 이성보(李姓譜)에서 世와 代의 표기

페이지 정보

불곰 작성일10-03-19 07:11 조회369회 댓글0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우리 이성보(李姓譜)에서 世와 代의 표기

1. 안녕하세요. 29世 德圭입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2. 우리 이성보(李姓譜)에서 쪽수 표기와 世와 代의 표기에 대하여 현전 최고본(現傳 最古本)인

              숭정보(崇禎譜)로부터 최근의 경오보(庚午譜)까지 살펴 보 겠습니다.

    ⑴ 이성보(李姓譜)는 전의이씨 족보를 뜻합니다.
    ⑵ 이성보의 수보 연혁(修譜 沿革→편찬 연혁))은 아래와 같습니다.

   ●총13회 ▶합보(合譜) 5회→→→초보(草譜) 2회 포함.
               ▶파보 4회→→→대사성공파 2회, 전서공파 2회
               ▶대동보 4회→→→발간 중단 1회 포함.

    ㈎. 합보 5회(초보 2회)→→→대사성공파, 전서공파 합보
          ① 성화초보(成化草譜→1476년 미간행)
          ② ☆만력보(萬曆譜→1574년 제1차)→선조 갑술보(宣祖 甲戌譜)
                   ※ 목판본 단권(木板本 單券)→→현무전(現無傳)
          ③★ 숭정보(崇禎譜→1634년 제2차)→인조갑술보(仁祖甲戌譜)
                       ※ 판각본(板刻本) 전 2권(상 하권)→→현전 최고본(現傳 最古本)
                   ★청강공파 화수회 소장
          ④ 숙종신묘 초보(肅宗辛卯 草譜→1711년 미간행)
          ⑤★ 영조 갑술보(英祖 甲戌譜→1754년 제3차)→최초의 금속활자본
                       ※ 총 10권→현전 희귀본 (現傳 稀貴本).
    ㈏. 파보(派譜) 4회
         ㉮ 대사성공 파보(大司成公 派譜) 2회
             ① ★ 철종 계축보(哲宗 癸丑譜→1853년) ※ 총13권
             ② ★ 고종 경자보(高宗 庚子譜→1900년) ※ 총18권
         ㉯ 전서공 파보(典書公 派譜) 2회.
               ①★ 고종 갑술보(高宗 甲戌譜→1874년) ※ 총 16권 
               ②★ 무오보(戊午譜→1918년) ※ 총 7권 

     ㈐. 대동보(大同譜) 4회 (발간 중단 1회 포함)
               ① 정묘보(丁卯譜→1927년)→ ★1권 간행후 중단
               ②★ 무술보(戊戌譜→1958년) ※총 20권 
               ③★ 기미보(己未譜→1979년) ※총 10집→책
               ④★ 경오보(庚午譜→1990년) ※총 9권

    ⑶ 쪽수 표기
      ㈎ 숭정보(崇禎譜→→제2차 간행, 1634년)▶판각본(板刻本)
            • 제1판(第一板→양면 1매), 제2판(第二板), 제3판(第三板),・・・・・순서 (順序)로 또는
               쪽수로 매기지 않고 천자문(千字文)의 순서에 따라 (天, 地, 玄, 黃, 宇, 宙, 洪・・・・・) 
               매기었다.

      ㈏ 영조갑술보(英祖甲戌譜→제3차 간행, 1754년) 이후 줄곧 경오보까지
            • 제1판(第一板→양면 1매), 제2판(第二板), 제3판(第三板),・・・・・순서 (順序)로 또는 
               쪽수로 매기었다.

    ⑷ 世와 代의 표기

       ㈎ 숭정보(崇禎譜)

 

            • 始祖太師李棹▶子康▶孫 子秀英▶曾孫 子文景▶玄孫 子允寬 ▶來孫 子順▶晜孫 子仟
                                  ▶仍孫 子子蒝 ▷李混, ▷李子華 ▶雲孫 子諱字▶九代 子諱字
                                  ▶十代 子諱字▶十一代 子諱字 ▶十二代 子諱字・・・・・中略・・・・・
                                  ▶二十二代 子諱字


            ★ 첩두(疊頭→本譜의 제일 윗 段)에는 姓(李)과 諱字를 유일하게 함께 등재(登載)하

                                 였다.

            ★ 代數의 차례는 始祖를 0代로 하여, 子는 1代 , 孫은 2代, 曾孫은 3代, 玄孫은 4代,

                     來孫은 5代. 晜孫(昆孫)은 6代, 仍孫은 7代, 雲孫은 8代, 九代, 十代.

                      十一 代・・・・・・・・・・

       ㈏ 영조갑술보(英祖甲戌譜) 이후 줄곧 경오보까지

            • 一世 李棹▶二世 子康▶三世 子秀英▶四世 子文景▶汚世 子允寬▶六世 子順

                             ▶七世 子仟▶八世 子子蒝 ▷子混, ▷子子華▶九世 子諱字▶十世 子諱字

                             ▶十一世 子諱字▶十二世 子諱字▶十三代 子諱字・・・・・中略・・・・・

                             ▶二十三世 子諱字

            ★ 始祖 外에는 姓氏(李)를 쓰지 않고 子 諱字만 등재하였 다.

            ★ 始祖를 0代로 하여 내려 오는 차서(순서)를 전면 개정하 여, 시조를 1世로 하

                        여 내려오는 차서(순서)로 바꾸었 다.

             • 선조나 후손을 단독으로 표기할 때는 족보에 등재된 대로 ≪○世≫ 로 만 표
                        기하여 왔다.
             • 代孫과 世孫은 같은 개념(代孫=世孫)으로, 또한 代祖와 世祖도 같은 개념
                         (代祖=世祖)으로 사용하여 왔다.
             • 世와 代의 셈법의 기본공식은, 
                         (子孫의 世) - (祖上의 世) = ○○世孫(代孫) / ○○世祖(代祖)

             ★ 基本 原則 1→→→ 조상이나 후손을 단독으로 표기할 때는 족보상 의 世를 표기
                  하여 그 次序(순서)를 분명히 하여 왔다.
           ★ 基本 原則 2→→→ 世孫, 世祖, 代孫, 代祖는 ≪計寸關係의 呼稱≫ 이므로 반드시

                  상대하는 선조나 후손을 함께 표기하여 왔다.

                  (※太師公六世孫仟, ※太師公七世孫大司成公諱子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