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世代(세대)

페이지 정보

손님 작성일09-11-23 16:23 조회332회 댓글0건
  • 다음글
  • 이전글
  • 수정
  • 삭제
  • 목록

본문

世代(세대)


옛날 專制君主(전제군주)의 權威(권위)는 현재의 우리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였다. 이미 ‘雨露之恩(우로지은)’에서 언급한 것처럼 사람이든 사물이든 하늘 아래 모든 것이 그 한 사람의 소유였던 것이다. 君主의 權威는 일상생활에 깊이 스며들어 모든 자연현상을 그의 德으로 稱頌(칭송)했는가 하면 만물의 生育이나 인간의 삶 자체를 그 恩寵(은총)의 결과로 여겼다.


이런 神聖不可侵(신성불가침)의 권위는 民草(민초)들의 이름을 짓는 데까지 영향을 미쳤다. 君主의 이름자는 사용할 수 없는 것은 물론 문장에서 쓰거나 말하는 것조차 금했는데 이것을 避諱(피휘)라고 했다. 더욱 고약한 것은 당대의 군주 뿐만 아니라 해당 왕조 역대 모든 君主들의 이름자까지 엄격하게 피해야 했다.


避諱의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같은 뜻의 글자로 대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一은 單(단), 旺(왕)은 昌(창), 元은 首(수) 등으로 바꾸는 것이다. 唐太宗(당태종)의 이름은 李世民(이세민)이다. 자연히 그 이후 당나라 약 8여년간은 世와 民 두 자는 사용할 수 없게 되고 말았다. 그러다 보니 재미있는 현상이 나타났다. 世와 같은 뜻인 代자가 애용되게 된 것이다.


본디 禮記(예기)에 보면 부모와 자식간을 一世라고 해 년으로 규정했다. 그런데 그만 世자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으므로 궁리 끝에 같은 뜻을 가진 代자를 사용하게 됐다. 그러나 당나라가 망한 이후에는 避諱해야 할 이유가 없어졌으므로 이 두 자가 함께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드디어 ‘世代’라는 말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한문학에서 옮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수정
  • 삭제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