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이의(異義)를 사용하는 문중 등..
페이지 정보
이준설 작성일09-10-27 14:37 조회284회 댓글0건본문
http://kyongkim.or.kr/sub3.jsp
http://blog.daum.net/gkdnjs2237/14934931
2. 충남전례원
http://cafe.daum.net/kimth320910
문 :
1세(世)의 시조(始祖)는 11세(世)된 손(孫)의 10대조(代祖)이고, 즉 대불급신(代不及身)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11세(世)가 10대조(代祖) 제사에 초헌관이 될 경우 10세손모(世孫某)라고 독축함이 사리에 맞는다고 생각되는데 이것이 맞는 주장인지 회답 바랍니다.
답 :
대불급신(代不及身)'은 대(代)를 따질 때는 자기는 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즉 자기와 아버지(父) 사이가 1대(代)인 것입니다. 그러나 세(世)는 자기도 칩니다. 그래서 자기는 아버지(父)의 2세(世)가 되는 것입니다.
귀하의 논리 중 1세(世)인 시조는 11세(世)된 손(孫)의 10대조(代祖)가 맞습니다. 그러나 11세(世)된 자는 1세(世)인 시조의 10세손(世孫)이 아니라 11세손(世孫)이 맞습니다. 즉, 세불급신(世不及身)이란 말은 없습니다.
그리고 1세손(世孫)이란 말은 안 쓰고 세손(世孫)을 쓰는 경우는 5세손(世孫) 이하부터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입니다. 효자(孝子), 효손(孝孫)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또한, 11세(世)가 10대조(代祖) 제사에 초헌관이 될 경우에 10대손모(代孫某)나 11세손모(世孫某)라 독축함이 맞습니다.
3. 광산 김씨(가례집람의 저자이고 동국18현중 1인인 沙溪<金長生> - 광산김씨)
▣ 족보의 세(世)와 대(代) [세와 대] 시조를 1세로 하여 아래로 내려갈 경우에는 세라 하고, 자신을 빼고 아버지를 1대로 하여 올라가며 계산하는 것을 대라 한다. 또한 자기의 조상을 몇 대조 할아버지라고 하고, 자신은 시조 또는 어느 조상으로부터 몇 세손 이라고 한다. [참고] * 아래 표에 1世~14世, 5代祖~本人, 1世孫(본인)~9世孫를 나열해 보았다.
| ||||||||||||||||||||||||||||||||||||||||||
*출처: 광산김씨대종회(http://www.kwangsankim.or.kr/) |
1) 한갑수 지은, 바른말 고운 말 (1968), 1111-1112 쪽.
2) 회상사(回想社) 발행, 한국족보30년사 부록 (1984), 101 쪽.
3) 장홍근(張鴻根) 편저, 문사요람(門事要覽), 덕성문화사, 21-22 쪽.
4) 유교신보(儒敎新報) (360호 362호) 지상예절문답, (1993)
5. 선성김씨
세(世)는 시조(始祖)를 일세(一世)로 하여 차례대로 다져서 정하는 것. 대(代)는 자기를 뺀
나머지를 차례로 따지는 것. 예를 들면 부자(夫子)의 사이는 세(世)로는 2세(二世)이며
대(代)로는 1대(一代)이다.
6. 성균관 자료
世와 代의 쓰임에 대한 실태조사 내용은 무엇이며 조사결과는 어떠한 지요.
(답) 2003년, 관련기관, 인사, 여러 성씨 대종회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世, 代 사용실태조사를 하였습니다. 여러 성씨 대종회장 85인에게 世와 代에 대한 설문지를 송부하였는데 57인은 회신하지 않았고 28인의 회신을 받았습니다. 절대 다수가 ‘世와 代는 이의’라 하였는데 ‘世와 代가 동의’라는 종친회는 3곳 뿐 이고 나머지 25곳은 ‘世와 代는 이의’라 하였습니다. 설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시조의 아들은 2世인데 世를 代로 바꿔 2代로 해도 됩니까? ②나는 고조의 4세손입니까? 5세손입니까? ③고조는 나의 4세조입니까? 5세조입니까? ④35世 덕인(德仁)이 35世에 손(孫)을 붙여 35세손 덕인이라 해도 됩니까? 등 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