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의 제학공(휘翊:예안 이씨 시조) 傍註(방주) 해석
페이지 정보
이준설 작성일16-01-07 19:43 조회130회 댓글0건본문
전의ㆍ예안이씨 경오보(인터넷족보) 1권.상편.삼파상계.17면(제학공 翊 해설)에 보면<원본 경오보1992년발행 책에는 1권7면>...
[ 정조 임자년(1792년) 통정대부 趙秉輯찬 익양공 實記碑銘에
"보문각 제학 휘翊 封禮安伯 貫焉是公高曾也 後爲禮安人"이라 하였다]..라는 구절이 있는데...
그 중에 {貫焉是公高曾也}을 중심으로 번역을 해보면...
“보문각 제학 휘翊은 禮安伯에 봉해졌다. 그래서 이것(예안)으로 관향을 삼았다. 제학공은 익양공의 고증조이다. 그 후로는 예안인이 됐다<그 후로는 본관이 예안이 됐다>”
라고 해석 할 수 있습니다. 여기 '高증조'에서 高는 증조(시조 휘 翊)에 대한 경칭(존경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DAUM사전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hhw000011558&supid=hhu000011561#hhu000011561
焉 : <?xml:namespace prefix = "daum" ns = "http://dic.daum.net/" />이에. 곧. 그래서. 이와 같은 까닭에.
是 : 이. 이것. 이곳.
高 : 신분이 높다. 존귀함. 位高年艾 <唐書>
최상위에 있다.以高第五人補郞中 <後漢書>
크다. 훌륭함. 勞苦而功高如此 <史記>
뛰어나다. 語高而旨深 <韓愈> ...高行
높이다. 존숭함. 雖死天下愈高之 <呂覽>
경의를 나타내는 접두사. 高見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