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외암 이간공(전의 22세손,예안 13세손) 문집 등 번역본 발표...

페이지 정보

이준설 작성일08-12-06 19:33 조회388회 댓글3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출처 1 :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17a2851a (백과사전)

<주내용> 외암 주장 : 사람의 기품이 다양하지만 심(心)이 발(發)하지 않으면 기는 순선(純善)하다고
했으며, 이(理)는 일찍이 선악(善惡)이 없으므로 발하기 전에는 악(惡)자를 붙일 수 없다고함.

출처 2 : http://cafe.daum.net/poongkihighvill/R5c/259?docid=10ybG|R5c|259|20051118084054&q=%BF%DC%BE%CF%BB%E7%BB%F3%BF%AC%B1%B8%BC%D2&srchid=CCB10ybG|R5c|259|20051118084054|R5c|259|20051118084054&q=%BF%DC%BE%CF%BB%E7%BB%F3%BF%AC%B1%B8%BC%D2&srchid=CCB10ybG|R5c|259|20051118084054 (아래 내용)

외암 이간(巍巖 李柬·1677-1727) 선생의 유학사상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게 될 외암사상연구소가 창립됐다.
‘외암사상연구소’는 2005.11.18일 오전 11시 아산시 온양그랜드호텔에서 이원직 외암유고위원회 위원장과 박성규 고려대 교수(한문학)를 공동대표로 연구소 창립 발기인 대회를 열었다.
연구소는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마을(중요민속자료 236호)에서 태어난 외암 이간 선생의 유학사상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게 된다.
외암사상연구소는 외암 선생의 고택인 건재고택에 두고 고려대학교에는 연락소 형태로 운영할 계획이다. 외암 건재고택은 1200평에 90여칸의 규모를 뽐내며, 정원은 국내 굴지의 정원백서에서 10대 정원으로 꼽힐 만큼 수려함과 멋을 자랑한다.
외암 이간은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논쟁’ 이후 조선 후기 성리학 최고의 논쟁인 ‘인물성동이론(일명 호락논쟁)’을 이끈 장본인이다.
이간은 ‘사람과 사물이 모두 나름대로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남당 한원진과 치열한 논쟁으로 잠잠해진 조선 성리학의 불꽃을 재연했다.
‘외암’이란 마을 이름도 이사정의 5대손이자 조선 중기 성리학자인 수암 권상하의 8제자 중 으뜸으로 꼽혔던 외암(巍巖) 이간 선생의 호에서 따왔다.
외암은 숙종36년(1710) 33세 되던 해에 학행으로 천거되어 장릉참봉을 제수받은 후 회덕현감, 경연관 등을 지냈으나 관직에 뜻을 두기보다는 오로지 학문 연찬에 노력해왔다. 저서로는 외암유고가 있으며, 외암문집목판 307매가 전해진다.
이원직 외암사상연구소 공동대표는 “외암 선생은 조선시대 3대논쟁의 하나인 호락논쟁의 단초를 열고 보편주의적 사상을 창조적으로 계승, 17세기 이후 당쟁을 역사발전으로 주도한 분”이라며 “외암의 철학적 관점의 현대적 계승을 위해 연구소를 설립하게 됐다”고 말했다. <李燦善 기자>

출처 3 :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category_id=KI&qid=2fe78&q=%BF%DC%BE%CF%B8%AE+%B9%CE%BC%D3%B8%B6%C0%BB&srchid=NKS2fe78

外岩(외암)리는 1988년 민속마을로 지정됐다.

출처 4 : http://hjhm.byus.net/zboard/view.php?id=2_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8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소장 박성규교수)에서 제12회 연구회를 개최하여 외암집 번역본을 문서로 일부분 발표.


어제(12.5일)는...오전11시에 서울을 출발하여 온양그랜드호텔에서 2시에 실시하는 외암사상연구소 주관 학술대회(외암이간의 철학과 삶)를 들으러 갔다왔는데...외암의 휘는 柬(가릴 간)..고향이 아산시 외암민속촌이고...거기가 바로 송악면 외암리지요..6시에 마치고 주는 저녁을 거기서 먹고 고속버스로 올라왔지요..고속버스로만 1시간반...왕복 5시간 소요된 듯..요금은 편도 5700원...

높고 큰 모양 외巍, 바위 암巖('바위 암岩'은 巖의 속자)...원래는 巍巖마을이었으나..일제시대때 外岩마을로 됐다고 합니다..어제(12.5일) 학술대회에는 아산시장,국회의원, 고려대 등 10여명의 교수, 문화재원장 등 총 100여명이 참석했더군요..전 참가자에게 각 권당 450여page나 되는 외암문집 등 번역본 전 4권(1질)을 기증하였고요...

댓글목록

월천이한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월천이한윤
작성일 09-03-17 23:18

외암마을은 우리 전의예안이씨의 자랑하는 전의예안이씨의 집성촌입니다만 외암리의 뒤산이 설화산이고요
그정상에도 외암할아버지의 칭송의 현판이 있으며 현재의 민속 마을로 지정되는데는 이곳 아산 출신이신
이어령국문학박사님이 문공장관시절에 장관이 민곡마을로 지정함이 극히 타당하다고 생각 지정토록 힘을 써서
지정되었습니다.

월천이한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월천이한윤
작성일 09-10-05 15:17

외암민속마을은 전의예안이씨의 집성촌으로 전의이씨의 중파할아버지 혼자의 손으로 전의이씨 13세온파에 해당하며 외암은 전의이씨 22세 柬자 할아버지(아족보 11권48항)의 호를 따서 명명된 마음 이름입니다. 묘소위치는 송악면 외암리 서악산서록 외암동 북삼상당 을좌합장(홍매산

월천이한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월천이한윤
작성일 09-10-05 15:17

참판댁은 원래 이조참판 및 규장각직학사로 고종황제가 주신호는 퇴호거사이며 원래 함자는 전의이씨 시조 28세 貞烈 (1868~1950)로 한윤의 증조할아버지뻘 됩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