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례서식
페이지 정보
lee7777 작성일11-02-13 16:21 조회218회 댓글1건본문
이를 정착시키고자 본 문중의 전통자료실의 제례순서를 인쇄하여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1페이지 이외에 인쇄가 연결되지
못하게 되어있더군요, 다음기회에 제례서식및 문중의 전통방식등을 따라할수 있도록 많은 자료 부탁드리며, 저희자손
모두가 전통과 방식을 이어갈수 있도록 문중 어르신 분들의 많은 지도와 편달을 부탁 드리겟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불곰님의 댓글
![]() |
불곰 |
---|---|
작성일 |
1. lee7777님 안녕하세요. 청주의 전서공파 29世 德圭입니다.
2. <제례순서>는 <홀기(笏記)>를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집성촌이 사라져 가는 핵가족 시대인 요즈음은 더욱 필요하다는데 동감합니다.
⑴ 전의 이씨는 묘제(墓祭)에 있어서는 전의 시조제(태사공 추향), 공주 태사공 선대 묘제에서 사용하고 있는 홀기(笏記)에 따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⑵ 또한 기제사(忌祭祀)는 각 문중, 가문이나 지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문의공파라고 하시니,
<인경소식지>에 제례에 관한 것을 자세히 연속물로 올리신 바 있는 백파(대사성공파)의 수석부회장님이신 <文義公 23世孫 相範> 일가님의 도음을 받으심은 어떻하올지?
● 충북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 108 14 ☎ 043)878-3262, 011-703-3262
3. 그리고, <자기 소개를 함에 있어 대손, 세손을 사용하는데 참고 사항>을 외람되게 愚見을 드리고저 합니다.
① 전의이씨 또는 대사성공파, 문의공파 등으로 표기할 때는 대손(代孫) 또는 세손(世孫)을 사용하지 않고, 자기의 세수(世數)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lee7777님의 경우라면, 전의이씨(대사성공파, 문의공파) <33世 ○燮>으로 표기하시고,
② 太師公 또는 大司成公, 文義公 등으로 표기할 때는 자기의 세수(世數)를 사용하지 않고,
대손(代孫) 또는 세손(世孫)을 사용합니다.
● lee7777님의 경우라면, 太師公 <32世孫(代孫) ○燮>, <大司成公 25世孫(代孫) ○燮>,
<文義公 24世孫(代孫) ○燮>이라고 표기 합니다.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4. 내내 강녕하시고 가네 두루 형통하시기 바랍나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