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김은열 지석에 대해 이준설님께 답변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休文 작성일10-12-23 09:34 조회515회 댓글0건본문
이준설님께서는 제대로 알지 못하는 내용에 대해서 거짓을 꾸며 여러 사람의 듣고 보는 것을 현혹(眩惑)하게 하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쓸데 없는 헛된 말로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것을 요설(饒舌) 또는 첩설(喋舌), 힐설(黠舌)이라고 합니다.
이준설님이 전의이씨 종인들의 판단을 흐리게 하는 행위를 그만두시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김은열(金殷說)의 지석(誌石)이 존재한다는 내용에 대해서 반박글을 다음과 같이 올려드립니다.
1. 1784년에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석의 탁본과 사진이 과연 실제로 있는 것인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규장각 도서번호-奎 28013】으로 소장된 것은 김은열의 지석(誌石)이 아닙니다. 이것은 1784년(정조 8)년 김은열의 지석을 발견하고나서 1849년(헌종 15) 그 후손인 개성 유수(開城留守) 김정집(金鼎集)이 세웠다는 김은열의 묘비(墓碑)를 탁본한 것입니다. 즉 김은열 지석을 그대로 탁본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준설님이 링크한 탁본사진과 그 내용 설명을 보면, 김은열 묘지명 탁본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당시에 발견된 그의 지석이 아니라 후손인 김정집이 세운 묘비의 내용을 탁본한 것입니다.
김은열 묘지명 탁본이라고 하는 첫 번째 사진은 留守 金鼎集이 세운 묘비의 전면을 탁본한 것이며, 두 번째 사진은 그 비음(碑陰)을 탁본한 내용입니다.
제1매는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高麗平章事輔國大安君金公殷說墓” 라 되어 있고 제2매는 마지막에 보시는 바와 같이 “.....後孫留守鼎集.....”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도 확인이 가능한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보는 내용이 모두 사실일 것이라는 오류에 빠지지 않으시기를 바라며 이러한 점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 내용의 요점을 변질시키지 마시기 바랍니다.
제가 이전에 남겨드렸던 내용의 글의 요지는 김은열 묘지에 "전의이씨(全義李氏) 의흥군(義興君) 이첨(李詹)"이라는 내용이 있는가에 대한 것이 관건입니다.
김은열 묘지가 전해지지도 않는 상황에서 그 내용에 이러한 내용이 있다라고 말하는 것도 우스운 일이고, 또한 김정집이 세운 김은열 비문에서도 그 내용이 과연 전해지는가하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 비문에서조차도 "전의이씨(全義李氏) 의흥군(義興君) 이첨(李詹)"이라는 내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이준설님의 "아니면 말구식"의 이야기에 여러사람이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아니면 말구식의 대표적인 예] -한다고 합니다. -한 듯 합니다.
이준설님은 그의 답변에서 [아니면 말구식이 아니라...... 확실히 모르니..연구해서 챙길것은 챙겨보자는 것이지요.]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구명작업이 필요한 것은 반드시 밝혀야 합니다. 하지만 확실히 알지도 못하는 내용에 대해서 이러한 식의 답변과 궤변만을 늘어놓는다면 이곳을 방문하는 전의이씨 일가분들께 커다란 혼란을 초래할 뿐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혼란을 야기시킬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본인이 전의이씨 일가들에게 제대로 알리고자 답변을 대신한 것입니다.
이준설님!
핵심을 벗어난 이야기를 할 것이 아니라 그 핵심 틀안에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정도의 길이라고 저는 깊게 믿습니다.
제발 정도를 벗어난 이야기를 하지 말아주시기를 바랍니다.
차후에는 제대로 알지 못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아니면 말구식의 답변을 하지 말아주시기 바라며 저는 가능한 이러한 것에 대한 답변을 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정도(正道)내에서의 토론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 [이준설] 김은열 묘지석 탁본 발견 소식.. (2010-12-21 20:13)
1. 아래 이 게시판 323번 휴문님의 글중에 김은열 묘지석 "실물이나 탁본이 현재 전해지지 않으며"..라고 하시면서..
탁본도 없다고 하시길래 찾아보니 규장각에 있다고 합니다. 거기에 보니..탁본 사진도 보이더군요.. 참고하시길...
실물은 탁본후 그 자리에 그대로 묻었다는 기록을 어디서 본 듯 한데..그럴 가능성이 많을 듯 합니다..
아래 클릭하세요..
출처 http://san114.tistory.com/1014
2. 실물은 탁본후 그 자리에 그대로 묻었다는 기록을 찾아보니..
아래를 클릭하세요..
http://blog.daum.net/yeolki3439/7895881 (하부의.. 6. 대안군(大安君 諱 殷說) 소개)
(--墓(묘)는 개성군 영남면 용흥리 화곡 오룡산 남쪽기슭인데..개성에서 북으로 10리에 소재)
http://hanja.naver.com/search?query=%E7%BD%AE%E5%A2%B3 (치분置墳의 뜻 해석:무덤에 두다)
{ 2) <대안군 김은열 묘지명> 소개
1. 소재 : 개성에서 북쪽으로 10리 가량 떨어진 종암 밑 오룡산 남쪽 기슭 임좌- 조선 정조 8년 (1784, 갑진)에 발견, 다시 묻음}..라는 기록을 보면..다시 묻은 듯(= 치분)..
쓸데 없는 헛된 말로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것을 요설(饒舌) 또는 첩설(喋舌), 힐설(黠舌)이라고 합니다.
이준설님이 전의이씨 종인들의 판단을 흐리게 하는 행위를 그만두시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김은열(金殷說)의 지석(誌石)이 존재한다는 내용에 대해서 반박글을 다음과 같이 올려드립니다.
1. 1784년에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석의 탁본과 사진이 과연 실제로 있는 것인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규장각 도서번호-奎 28013】으로 소장된 것은 김은열의 지석(誌石)이 아닙니다. 이것은 1784년(정조 8)년 김은열의 지석을 발견하고나서 1849년(헌종 15) 그 후손인 개성 유수(開城留守) 김정집(金鼎集)이 세웠다는 김은열의 묘비(墓碑)를 탁본한 것입니다. 즉 김은열 지석을 그대로 탁본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준설님이 링크한 탁본사진과 그 내용 설명을 보면, 김은열 묘지명 탁본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당시에 발견된 그의 지석이 아니라 후손인 김정집이 세운 묘비의 내용을 탁본한 것입니다.
김은열 묘지명 탁본이라고 하는 첫 번째 사진은 留守 金鼎集이 세운 묘비의 전면을 탁본한 것이며, 두 번째 사진은 그 비음(碑陰)을 탁본한 내용입니다.
제1매는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高麗平章事輔國大安君金公殷說墓” 라 되어 있고 제2매는 마지막에 보시는 바와 같이 “.....後孫留守鼎集.....”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도 확인이 가능한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보는 내용이 모두 사실일 것이라는 오류에 빠지지 않으시기를 바라며 이러한 점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 내용의 요점을 변질시키지 마시기 바랍니다.
제가 이전에 남겨드렸던 내용의 글의 요지는 김은열 묘지에 "전의이씨(全義李氏) 의흥군(義興君) 이첨(李詹)"이라는 내용이 있는가에 대한 것이 관건입니다.
김은열 묘지가 전해지지도 않는 상황에서 그 내용에 이러한 내용이 있다라고 말하는 것도 우스운 일이고, 또한 김정집이 세운 김은열 비문에서도 그 내용이 과연 전해지는가하는 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그러나 그 비문에서조차도 "전의이씨(全義李氏) 의흥군(義興君) 이첨(李詹)"이라는 내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이준설님의 "아니면 말구식"의 이야기에 여러사람이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아니면 말구식의 대표적인 예] -한다고 합니다. -한 듯 합니다.
이준설님은 그의 답변에서 [아니면 말구식이 아니라...... 확실히 모르니..연구해서 챙길것은 챙겨보자는 것이지요.]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구명작업이 필요한 것은 반드시 밝혀야 합니다. 하지만 확실히 알지도 못하는 내용에 대해서 이러한 식의 답변과 궤변만을 늘어놓는다면 이곳을 방문하는 전의이씨 일가분들께 커다란 혼란을 초래할 뿐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혼란을 야기시킬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본인이 전의이씨 일가들에게 제대로 알리고자 답변을 대신한 것입니다.
이준설님!
핵심을 벗어난 이야기를 할 것이 아니라 그 핵심 틀안에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정도의 길이라고 저는 깊게 믿습니다.
제발 정도를 벗어난 이야기를 하지 말아주시기를 바랍니다.
차후에는 제대로 알지 못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아니면 말구식의 답변을 하지 말아주시기 바라며 저는 가능한 이러한 것에 대한 답변을 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정도(正道)내에서의 토론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 [이준설] 김은열 묘지석 탁본 발견 소식.. (2010-12-21 20:13)
1. 아래 이 게시판 323번 휴문님의 글중에 김은열 묘지석 "실물이나 탁본이 현재 전해지지 않으며"..라고 하시면서..
탁본도 없다고 하시길래 찾아보니 규장각에 있다고 합니다. 거기에 보니..탁본 사진도 보이더군요.. 참고하시길...
실물은 탁본후 그 자리에 그대로 묻었다는 기록을 어디서 본 듯 한데..그럴 가능성이 많을 듯 합니다..
아래 클릭하세요..
출처 http://san114.tistory.com/1014
2. 실물은 탁본후 그 자리에 그대로 묻었다는 기록을 찾아보니..
아래를 클릭하세요..
http://blog.daum.net/yeolki3439/7895881 (하부의.. 6. 대안군(大安君 諱 殷說) 소개)
(--墓(묘)는 개성군 영남면 용흥리 화곡 오룡산 남쪽기슭인데..개성에서 북으로 10리에 소재)
http://hanja.naver.com/search?query=%E7%BD%AE%E5%A2%B3 (치분置墳의 뜻 해석:무덤에 두다)
{ 2) <대안군 김은열 묘지명> 소개
1. 소재 : 개성에서 북쪽으로 10리 가량 떨어진 종암 밑 오룡산 남쪽 기슭 임좌- 조선 정조 8년 (1784, 갑진)에 발견, 다시 묻음}..라는 기록을 보면..다시 묻은 듯(= 치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