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각(寶文閣) 제학공(提學公)을 8世로 볼 수 있을까?
페이지 정보
넓은벌 작성일10-12-20 12:39 조회387회 댓글1건본문
보문각(寶文閣) 제학공(提學公)을 8世로 볼 수 있을까?
제학공(提學公) 익(翊)을 8세로 산정함은 아무래도 무리가 있다. 제학공(提學公)의 증손자 익양공(翼襄公) 이천(李蕆)은 1376년생이다. 1세대를 지금처럼 30년으로 산정한다면, 익양공(翼襄公)의 부 판서공(判書公) 송(竦)은 1346년 전후에, 조부 좨주공(祭酒公) 변(昪)은 1316년 전후에, 증조부 제학공 익(翊)은 1286년 전후에 태어났다고 추측할 수 있다.
그런데 문장공(文莊公) 8세 혼(混)이 태어난 것은 1252년이다. 제학공(提學公)을 문장공(文莊公)의 아우로 추정하여 10살 어린 1262년에 태어났다고 가정해도 무리가 따른다. 제학공(提學公)을 1262년생으로 추정하면 증손자 익양공(翼襄公) 이천(李蕆)과는 114년의 차이가 난다. 1세대 간의 나이 차이가 어림잡아 38년이나 된다. 이 나이 차이는 당시로는 조손간(祖孫間)의 나이 차이로도 볼 수 있다.
제학공(提學公) 익(翊)을 8세로 추정하면, 1273년에 태어난 8세 대사성공의 아들 9세 문의공(文義公) 언충(彦冲)과 좨주공(祭酒公) 昪(1316년생으로 가정)은 4촌간이 되는데 나이가 43년 이상 차이가 난다. 지금도 4촌간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43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판서공(判書公) 이송(李竦)은 1388년 처남 염흥방(廉興邦) 등이 피살될 때 동서들과 함께 죽었다. 이송(李竦)은 2남 2녀를 두었는데, 그 중 둘째가 익양공(翼襄公) 이천(李蕆:1376년생)이다.
이송(李竦)의 처부이자 이천(李蕆)의 외조부 염제신(廉悌臣: 1304년~ 1382년)은 11남매를 두었는데 딸로 다섯째가 이천(李蕆)의 어머니이다. 염제신(廉悌臣)은 79살까지 살고 여러 부인에게서 자식을 남겼다.
이천(李蕆)의 넷째이모는 1371년 공민왕(恭愍王)의 비가 된 신비(愼妃)이다. 20살 전후에 출가했다면 이천(李蕆)의 어머니는 1350년 후에 출생했을 것이다.
이천(李蕆)의 외증조부 안남부사(安南副使) 염세충(廉世忠)은 아들 염제신(廉悌臣)이 어릴 때 죽었다. 그렇다면 염세충(廉世忠)은 대략 1275년 전후의 사람일 것이다.
염세충(廉世忠)의 처부 조인규(趙仁規:1237년~1308년)와 염세충(廉世忠)의 부 염승익(廉承益:~1302년졸)은 사돈간으로 동시대의 인물일 것이다.
柳陞(1248∼1298)은 5남 2녀를 두었다. 첫째 柳仁修, 넷째 유돈(柳墩), 다섯째 유인기(柳仁琦), 여섯째 유인명(柳仁明), 일곱째 유인락(柳仁珞)이다.
유경의 아들 柳陞(1248∼1298)의 4남, 즉 柳仁修의 아들 柳靖의 네째숙부 柳仁明의 처부는 李尊庇(1233∼1287)이다. 유경의 삼남, 즉 柳靖의 세째숙부 柳墩(1274∼1349)의 장남 柳總은 權功漢(?∼1349)의 딸과 혼인했다. 이를 유추하면 柳靖은 1300년대 초쯤에 출생했을 것이다.
3파 선조 연표
|
휘 |
생졸년 |
|
생졸년 |
휘 |
생졸년 |
8세 |
子蒝 |
1251년 이전~ |
混 |
1252년~1312년 |
子華 |
1253년 이후~ |
9세 |
彦冲 |
1273년~1338년 |
彦昇 |
1301년 동방급제 李齊賢(1287~ 1367) |
得榮 |
⊙配 柳靖의 女 柳靖의 네째숙부 柳仁明의 처부는 李尊庇(1233∼1287)이다. |
10세 |
光翊 |
문의공 子 친구 李仁復1308∼1374 |
翊 |
|
丘直 |
1339~1394 |
11세 |
思安 |
送月堂 동년배 李穡 1328∼1396 |
昪 |
⊙配 柳靖의女, 柳靖의 셋째 숙부 柳墩(1274∼1349) |
貞幹 |
1360~1441 |
12세 |
作 |
1356~1426 |
竦 |
~1388 |
士寬 |
1382~1440 |
13세 |
冝洽 |
~1450 |
蕆 |
1376~1451 |
諴長 |
1410~1467 |
⊙ 위 기재 사항은 후손으로서 의문점을 조금이라도 풀기 위하여 기술한 것이기 때문에 잘못된 내용 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선조의 사적에 대해 작은 흔적이라도 찾으려는 후손의 심정으로 글을 썼사오니, 많은 혜량바랍니다.
大司成公派-全義府院君(諱 思安) 後孫 漢益 씀
댓글목록
불곰님의 댓글
![]() |
불곰 |
---|---|
작성일 |
1. 넓은 벌님! 좋으신 글을 올려주시어 고맙게 잘 읽어 보았습니다.
2. <보문각(寶文閣) 제학공(提學公)을 8世로 볼 수 있을까?>에 대하여 우견(愚見)을 말씀드리고저 합니다.
3. 제가 올린 글중에 <④ 계대 비교표(繼代 比較表)>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의 말씀을 드렸습니다.
<★9世 전법총랑공과 11世 성균관 좨주공이 동서(同壻)간으로 확인된 바 보문각 제학공은 8世 항렬로 추리할 수 있으므로, 10世로 착대(著代)하였음은 오류(誤謬)라 아니할 수 없다.>
4. <9世 전법총랑공과 11世 성균관 좨주공이 동서지간(同壻之間)이라는 것>은 문화류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와 전의이씨 숭정보 등 본종(本宗)의 성보(姓譜)에서 입증된 바. 전법총랑공과 성균관 좨주공께서는 동시대의 인물로서,
5. 전법총랑공의 아버님이 8世 전서공이고, 성균관 좨주공의 아버님이 보문각 제학공이므로, 이렇게 추리하면 보문각 제학공은 8世로 보아야 하는데 이는 <있을 수 없는 일>이므로,
6. 보문각 제학공을 문장공의 손자 즉 10世로 착대한 것은 오류라는 것을 말씀드린 것입니다.
7. 보문각 제학공이 8世라고 단정지어 말씀드린 것이 아닙니다.
8. 제가 올린 답글이 길어 졌지만, 요지는 <본종의 성보에서 보문각 제학공을 문장공의 손자 즉 전의이씨 10世로 착대한 것이 오류다.>라는 것입니다.
9. 오해없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