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화수회본부 역대회장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문장공((文莊公)의 아들은 몇 명일까?

페이지 정보

넓은벌 작성일10-12-17 13:05 조회447회 댓글1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문장공((文莊公)의 아들은 몇 명일까?

⓵ 《高麗史節要》〈忠烈王 34년(1308)〉의 “中護李混 詣前王所 議選法 陞擢二子(중호 이혼이 전왕의 처소에 이르러서 관리 선발에 관한 방법을 의논 할 때에 두 아들을 승진 발탁했다.)”

⓶ 《高麗史》〈李混 列傳〉의 “子異 少穎悟 登第仕至成均樂正 先卒無子(아들은 이(異)인데 어려서부터 영특했다.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성균악정에 이르렀는데 (아버지보다) 먼저 죽고 아들이 없다.”

⓷ 《東人之文五七》의 〈李政丞混六首〉의 “子彦昇 登辛丑科 官至成均樂正 先卒無子(아들 언승은 신축년(충렬왕 27년)에 과거에 오르고 벼슬이 성균악정에 이르렀는데 (아버지보다) 먼저 죽고 아들이 없다.”


 (1) 위의 자료를 근거로 문장공은 두 명의 아들을 둔 것이 확실하다. 그러나 이이(李異)와 이언승(李彦昇)은 동일 인물이니, 나머지 한 아들은 안타깝게도 이름이 전하지 않는다.


(2) “先卒無子”는 “이혼(李混)의 아들 이이(李異, 혹은 李彦昇)는 아버지보다 먼저 죽고, (그는) 아들이 없다.”로 풀이된다. 다른 아들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고 하여 언승(彦昇)이 독자라고 단정 지을 수만은 없으며, 62세까지 사신 문장공에게는 두 명 이상의 아들이 있었을 개연성은 충분히 있다고 본다.


(3)《東人之文五七》에 게재된 인물 요약을 보면, 현조(顯祖)나 과거에 급제한 부조(父祖), 급제한 이름난 아들을 기록하고 있고, 나머지 아들은 생략하거나 누락된 경우가 종종 있다.

(4) 1580년 초당 허엽이 지은 《병판공 이구령 신도비명》에는 〈有曰子蒝 官至政堂文學 名最顯 公其後也〉라고 하여 문의공의 아버지 증대사성공을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를 보면 지금처럼 자료를 쉽게 보고 찾을 수 없는 당시의 선인들의 고충을 미루어 알 수 있고, 가승과 족보가 체계적으로 작성되거나 편찬되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5)《東人之文》은 1355년에 발행되었지만, 저자 최해(崔瀣 1287∼1340)가 생존 시 엮은 시문집이므로, 저자는 이제현(李齊賢 1287∼1367 )과 쌍벽을 이룬 영오한 이이(李異, 혹은 彦昇)의 일찍 죽음과 그의 아들 없음을 명기한 것 같다. 고려사의 ‘先卒無子’도 이를 보고 썼을 것이다.


 (6) 문의공 언충(彦冲)과 언승(彦昇)은 종형제로 항렬자 언(彦)을 써서 이름을 짓고, 문장공도 자분(子芬)에서 혼(混)으로 이름을 바꾼 것처럼 언승(彦昇)을 이(異)로 바꾸지 않았나, 한다.


 

저는 동종의 후손들이 돈목하기를 바라며, 함께 의문점을 해결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글을 올릴 뿐입니다.

                ⊙ 태사공 30대손  漢益 

댓글목록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10-12-17 16:01

넓은 벌님의 견해에 대체로 동감입니다..그래서 앞으로 많은 연구를 해봐야겠지요..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