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이교문 일가님의 제막식연기 글을 읽고서.....

페이지 정보

休文 작성일10-05-02 08:26 조회321회 댓글0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이교문 일가님께!
 
전의이씨 대사성공파의 일가님 반갑습니다.
올려주신 글 잘 보았습니다.
 
일가님께서 올려주신 글을 보고나서 일가님이나 해당문중의 일부 어르신들께서 기분 상(傷)하실수 있으나 후손들에게 올바르게 전수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苦言을 한마디 하고자 합니다.
 
아래에 쓴 글은 교문일가님이나 충주문중이 객관적인 시각으로 보아야 할 문제이며, 이러한 사실을 호도(糊塗)하여서는 아니될 것입니다. 또한 이 글이 교문일가님이나 충주문중을 나쁜 뜻으로 이야기하려 함이 아님을 먼저 밝혀둡니다.
 

1. 중추원 부사공파(中樞院副使公派) 또는 승지공파라 불러야 한다.
우선 첫째로 중추원사공 종회라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공 종회라고 하는게 정확할 것입니다. 그 이유는 이의흡(李宜洽) 선조님은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라는 벼슬을 역임하고 중추원사까지는 이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朝鮮王朝實錄 1450년(문종 즉위년) 05월 03일(병오) 條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副提學을 지낸 이명숭(李命崇) 묘지(墓誌)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과 이명숭 묘지는 서기 1400년대 후반 당시의 기록이기 때문에 이의(異議)가 있을 수 없습니다. 아래에 해당 내용을 첨부합니다.

①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1450년(문종 즉위년) 05월 03일(병오)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이의흡(李宜洽)이 졸(卒)하니, 임금이 관곽(棺槨)과 부물(賻物)을 하사(下賜)하였다. 이의흡은 동궁 행수(東宮行首)에서 출신(出身)하여 광흥창 사(廣興倉使)에 임명되고, 과거(科擧)에 올라서 여러 번 승진하여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에 이르렀다. 그때 하연(河演)이 판이조사(判吏曹事)를 겸무(兼務)하고 있었으므로, 그 족속(族屬) 윤삼산(尹三山)을 장령(掌令)으로 삼고자 하여 미리 사람들의 입에 퍼뜨렸는데, 제목(除目)이 내려오니 과연 장령(掌令)에 임명되었으므로, 이의흡(李宜洽)이 대사헌(大司憲) 정갑손(鄭甲孫)과 더불어 힘껏 다투어 이를 파직(罷職)시켰다.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에 천직(遷職)되었는데, 하연(河演)이 전일의 감정(憾情)을 품고 내쳐서 영흥 부사(永興府使)로 삼고, 또 정갑손(鄭甲孫)을 내쳐서 함길도 도관찰사로 삼았다. 이의흡(李宜洽)은 임기(任期)가 차기 전에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로 발탁 임명되고 승진되어 좌승지(左承旨)에 이르렀으나, 병으로써 사직(辭職)하였으므로 이에 이 관직에 임명되었다. 이의흡은 성품이 온화하고 선량(善良)하며 말과 행실이 구차스럽지 않았으므로, 이르는 곳마다 청렴하고 재간 있는 사람으로 칭송되었다.
 
② 이명숭(李命崇) 묘지(墓誌)
公姓李諱命崇字居易全義人 父忠淸道觀察使諱愼孝 王父中樞院副使諱宜洽 曾王父追贈吏曹參議諱作 外祖京圻水運判官成公諱栩昌寧人..........하략(下略)..........
공(公)의 성(姓)은 이씨(李氏)요, 휘는 명숭(命崇)으로 자(字)는 거이(居易)이며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아버지는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 휘 신효(愼孝)이고, 할아버지는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휘 의흡(宜洽)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추증(追贈)된 휘 작(作)이고 외할아버지는 경기수운판관(京圻水運判官)을 지낸 성허(成栩)이니,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2. 이신효(李愼孝) 이덕숭(李德崇) 이구령(李龜齡) 3대가 관찰사를 지냈다.
둘째로 4대에 걸쳐 경기도,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하였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전의이씨에서 4대 이상이 관찰사를 지낸 집안은 이구직(李丘直)→이정간(李貞幹)→이사관(李士寬)→이함장(李諴長)→이수남(李壽男) 라인으로 이어지는 한 곳 만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5대에 걸쳐서 관찰사를 배출한 집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이수남은 황해도 관찰사에 부임하지 못한채 졸하였습니다. 아래에 해당 내용을 첨부합니다.
 
● 이구직(李丘直) 1339.2.28 ∼ 1394.12.7
1382년(고려 우왕 08) 교주도(交州道) 안렴사(按廉使)가 되었다.
※ 교주도는 강원도를 말하며 안렴사는 훗날에 관찰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이정간(李貞幹) 1360(고려 공민왕 9) ∼ 1439(조선 세종 21)
1418년(태종 18) 07월 08일(병진) 강원도 도관찰사(江原道都觀察使)가 되었다.
● 이사관(李士寬) 1382(고려 우왕 08) ∼ 1440(세종 22)
1432년(세종 14)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청선고)
1434년(세종 16) 10월 30일(계유) 강원도 도관찰사(江原道都觀察使)가 되었다.
1437년(세종 19) 08월 26일(계미) 경기도 관찰사가 되었다.
● 이함장(李 言+咸 長) 1410(태종 10) ∼ 1467(세조 12)
1462년(세조 08) 01월 23일(무오)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가 되었다.
1463년(세조 09) 07월 06일(계사) 경상도 도관찰사(慶尙道都觀察使)가 되었다.
● 이수남(李壽男) 1439(세종 21) ∼ 1471(성종 2)
1471년(성종 2) 6월 3일(갑진)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가 되었다. 미부임(未赴任) 졸(卒)

그리고 중추원부사공파에서 관찰사를 지낸 분은 이신효(李愼孝) 이덕숭(李德崇) 이구령(李龜齡) 선조님이십니다. 중추원부사공파의 이원효(李元孝) 선조님은 판결사(判決事)를 지내셨으며 충청도 관찰사를 지내신 적이 없습니다.

● 이신효(李愼孝)
1481년(성종 12) 1월 25일(경자)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가 되었다.
● 이덕숭(李德崇)
1488년(성종 19) 2월 28일(임술)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가 되었다.
● 이구령(李龜齡) 1482(성종 13) ∼ 1542(중종 37)
1528년(중종 23)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가 되었다.
1532년(중종 27) 2월 4일(계미) 충청도 관찰사(忠淸道觀察使)가 되었다.
1535년(중종 30) 10월 28일(병진) 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가 되었다.
※ 龜 라는 글자는 구, 귀, 균으로 등으로 발음하는 동자이음한자(同字異音漢字)인데, 구라고 읽을 때는 <거북의> 長壽를 상징하는 뜻을 담고 있으며 귀로 읽을 때는 龜鑑(귀감)의 경우 같이 거울의 의미이고 균으로 읽을 때는 占卜과정에서 거북의 등이 갈라지는 경우처럼 龜裂(균열)의 경우이다. 해당 후손들이 이구령(李龜齡)을 어떻게 읽을 지는 모르겠으나 이구령의 齡이라는 글자의 뜻이 나이, 연령을 뜻하므로 龜는 구로 읽는 것이 옳지 않나 생각한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추원사공파를 중추원부사공파 또는 승지공파로
4대가 관찰사를 지냈다고 하는 부분은 하루 속히 정정되어야 겠습니다.
 
조상에 대한 숭조사업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 숭조사업이 지나쳐 없었던 일이 마치 있었던 일이 되게 한다면, 이 또한 조상을 욕되게 하는 일일 것입니다. 이번 기회를 통하여 잘못 알려졌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고치는 자세도 필요하다 하겠습니다. 이것이 조상을 위하는 바른 자세라 믿습니다.
 
 
 
===============================================================================================================
 
제막식연기
전의이씨  대사성공파  중추원사공 종회  에서는   4대에걸  경기도,충청도 ,감찰사  를역임하시고   영의정으로  추서되신   할아버지 네분 의 신도비를   오랜 숙원 사업으로   건립하여   5월15일  제막식을   거행  하려고 하였으나   저희  선영하    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여   부득이   연기   할수박에 없어   알려드립니다    추후   제막식  이  거행하기로   결정이되면    알려드리겠으니    양해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종회  부회장   교문  올림    011-3415-808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