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4년(선조 07) 전의이씨성보(全義李氏姓譜) 간행에 참여한 인물들
페이지 정보
休文 작성일10-04-19 10:03 조회473회 댓글6건본문
1574년(선조 07) 만력(萬曆) 갑술년(甲戌年) 전의이씨성보(全義李氏姓譜) 간행에 참여한 전의이씨 내외손 인물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에 대한 내용은 수년전에 정리한 적이 있으나 이곳에서는 간략하게 나타내본다.
차후에 시간이 허락한다면 이를 분석한 글을 인경소식이나 인경회보에 게재하는 것도 고려해 볼 일이다.
1574년 만력 갑술년에 만들어진 전의이씨성보를 일컬어 만력 갑술보라 한다. 만력 갑술보에 참여한 인물은 총 65인으로 이를 세(世)별로 구분하면 【14세(世)】1인 , 【15세(世)】3인, 【16세(世)】14인, 【17세(世)】17인, 【18세(世)】22인, 【19세(世)】6인, 【20세(世)】2인 이다.
각각의 해당인물에 대하여 전의이씨(全義李氏) 8세를 기준으로 한 파(派)를 살펴보면 대사성공파 42인, 전서공파 23인으로 총 65인이 참여하였으며 이중 사위 또는 외손이 14명 참여하였는데 그 비율은 23%나 되었다.
13세를 기준으로 하는 파(派)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러두기>
아래에서의 ○ 표시는 본종(本宗:자신의 姓貫을 지칭하는 말)의 인물, 즉 전의이씨 인물을 나타내며 ◉ 표시는 사위 또는 외손에 해당하는 인물들을 나타낸다.
각 해당인물의 세(世)와 관직 및 성명을 적고 이름의 우측에는 해당인물이 출전하는 1990년 경오보의 면(頁)수를 나타내었다. 해당인물에 대한 존칭은 생략하기로 한다.
━━━━━━━━━━━━━━━━━━━━━━━━━━━━━━━━━━━━━━━━━━
1. 대사성공파 42인
━━━━━━━━━━━━━━━━━━━━━━━━━━━━━━━━━━━━━━━━━━
■ 감찰공(監察公) 휘(諱) 대성(大晟)파 1인
○ 17세 예문관봉교 이순인(藝文館奉敎 李純仁) 1권 019
■ 도절제사공(都節制使公) 휘(諱) 승간(承幹)파 11인
○ 18세 첨지중추부사 이원준(僉知中樞府事 李元濬) 1권 020
○ 18세 내금위 이제현(內禁衛 李齊賢) 1권 023
○ 18세 내금위 이득곤(內禁衛 李得坤) 1권 024
○ 18세 공조참판 이준민(工曹參判 李俊民) 1권 032
○ 19세 전현령 이문(前縣令 李雯) 1권 022
○ 19세 전현감 이욱(前縣監 李旭) 1권 023/204
○ 19세 유학 이문기(幼學 李文琦) 1권 025/212
○ 19세 전현감 이경윤(前縣監 李景潤) 1권 028/223
◉ 19세 예문관봉교 조원(藝文館奉敎 趙瑗) 1권 032
◉ 20세 예산현감 박웅읍(禮山縣監 朴雄揖) 1권 021
○ 20세 훈련원봉사 이겸(訓鍊院奉事 李謙) 1권 025
■ 소윤공(小尹公) 휘(諱) 성간(成幹)파 3인
◉ 17세 사헌부대사헌 박소립(司憲府大司憲 朴素立) 1권 036
◉ 17세 함경도관찰사 박대립(咸鏡道觀察使 朴大立) 1권 036
○ 18세 대흥현감 이응필(大興縣監 李應弼) 1권 036
■ 형조정랑공(刑曹正郞公) 휘(諱) 직간(直幹)파 15인
○ 17세 의정부영의정 이탁(議政府領議政 李鐸) 1권 037
○ 17세 은률현감 이추(殷栗縣監 李錘) 1권 038
○ 17세 은산현감 이용(殷山縣監 李鏞) 1권 039
○ 17세 구성부사 이사정(龜城府使 李思艇) 1권 045
○ 17세 전군수 이사주(前郡守 李思舟) 1권 045
○ 18세 활인서별좌 이영수(活人署別坐 李瀛壽) 1권 037
○ 18세 교동현감 이회수(喬桐縣監 李淮壽) 1권 038
◉ 18세 영동현감 김갑생(永同縣監 金甲生) 1권 038
◉ 18세 장연현감 유한량(長淵縣監 劉漢良) 1권 038
○ 18세 빙고별좌 이사수(氷庫別坐 李泗壽) 1권 039
○ 18세 승정원좌부승지 이해수(承政院左副承旨 李海壽) 1권 037
◉ 18세 호조정랑 민준(戶曹正郞 閔濬) 1권 041
○ 18세 성균생원 이언철(成均生員 李彦哲) 1권 042
◉ 18세 유학 안로(幼學 安璐) 1권 043
○ 18세 전봉사 이희용(前奉事 李希容) 1권 045
■ 정선군수공(旌善郡守公) 휘(諱) 강지(剛之)파 2인
◉ 16세 면천군수 소수(沔川郡守 蘇遂) 1권 048
○ 17세 전감찰 이공작(前監察 李公綽) 1권 047
■ 주부공(主簿公) 휘(諱) 효전(孝全)파 1인
○ 18세 내금위 이의영(內禁衛 李宜榮) 1권 066
■ 중추원 부사공(中樞院副使公) 휘(諱) 의흡(宜洽)파 5인
○ 17세 봉산군수 이간남(鳳山郡守 李艮男) 1권 075
◉ 18세 의정부사인 윤탁연(議政府舍人 尹卓然) 1권 074
○ 18세 전현감 이보인(前縣監 李寶仁) 1권 074
○ 18세 전내금위 이형린(前內禁衛 李亨麟) 1권 041
○ 19세 전직장 이장림(前直長 李長林) 1권 074/497
■ 부사직공(副司直公) 휘(諱) 삼기(三奇)파 4인
○ 16세 장수찰방 이문달(長水察訪 李文達) 1권 077
○ 16세 전현감 이문욱(前縣監 李文郁) 1권 077
◉ 16세 춘천부사 목첨(春川府使 睦詹) 1권 078
○ 16세 평안도관찰사 이문형(平安道觀察使 李文馨) 1권 078
━━━━━━━━━━━━━━━━━━━━━━━━━━━━━━━━━━━━━━━━━━
2. 전서공파 23인
━━━━━━━━━━━━━━━━━━━━━━━━━━━━━━━━━━━━━━━━━━
■ 평간공(平簡公) 휘(諱) 예장(禮長)파 2인
○ 17세 행용양위호군 이의(行龍驤衛護軍 李艤) 1권 105
○ 18세 충의위 이천주(忠義衛 李天柱) 1권 103
■ 주서공(注書公) 휘(諱) 지장(智長)파 1인
○ 16세 충의위 이종문(忠義衛 李宗文) 1권 106 ※예조참판공파에서 출계(出系)
■ 예조참판공(禮曹參判公) 휘(諱) 함장(諴長)파 5인
○ 17세 성균진사 이민행(成均進士 李敏行) 1권 111
○ 17세 전직장 이충(前直長 李忠) 1권 112
◉ 17세 충주목사 최홍한(忠州牧使 崔弘僴) 1권 113 ※전주 최씨(全州崔氏) 족보(族譜)를 최초로 편찬(編纂)한 인물이다.
○ 18세 충의위 이봉춘(忠義衛 李逢春) 1권 110
■ 경상도 관찰사공(慶尙道觀察使公) 휘(諱) 효장(孝長)파 4인
○ 16세 성균진사 이문룡(成均進士 李文龍) 1권 117
○ 16세 전내금위 이윤성(前內禁衛 李允成) 1권 118
◉ 16세 전라도관찰사 박민헌(全羅道觀察使 朴民獻) 1권 120
○ 16세 전의현감 이의인(全義縣監 李依仁) 1권 120
■ 양간공(襄簡公) 휘(諱) 서장(恕長)파 3인
○ 16세 첨지중추부사 이문성(僉知中樞府事 李文誠) 1권 123 ※평간공파에서 출계(出系)
○ 17세 충의위 이인량(忠義衛 李寅亮) 1권 121
○ 17세 전지평 이제신(前持平 李濟臣) 1권 123
■ 부사과공(副司果公) 휘(諱) 승중(承重)파 1인
◉ 17세 한성부우윤 허세린(漢城府右尹 許世麟) 1권 142
■ 절제사공(節制使公) 휘(諱) 중손(仲孫)파 1인
○ 15세 지중추부사 임열(知中樞府事 任說) 1권 147
■ 사복시 정공(司僕寺正公) 휘(諱) 세분(世芬)파 4인
○ 15세 문의현령 이길(文義縣令 李佶) 1권 157 ※창녕 현감(昌寧縣監)으로서 1565년에 간행한 문화류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에 참여하였다.
○ 16세 서흥부사 이경우(瑞興府使 李慶祐) 1권 153
○ 16세 개성부경력 이경희(開城府經歷 李慶禧) 1권 154
○ 16세 동부참봉 이경록(東部參奉 李慶祿) 1권 156
■ 군자판관공(軍資判官公) 휘(諱) 세무(世茂)파 1인
○ 15세 만포첨사 이엄(滿浦僉使 李儼) 1권 159
■ 생원공(生員公) 휘(諱) 정손(楨孫)파 1인
○ 14세 전습독관 이종윤(前習讀官 李宗胤) 1권 012
댓글목록
불곰님의 댓글
![]() |
불곰 |
---|---|
작성일 |
1. 안녕하세요. 청주의 29世 德圭압니다.
2. 올려주신 글을 잘 보았숩니다.
3. 소생이 한문을 잘 몰라서 잘못된 글을 올렸습니다. 소생이 올린 글은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4. 올려주신 글을 읽고 분석하여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본 자유게시판을 통하여 많은 글을 올려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5. 한가지 문의드립니다, 다음에 대하여는 숭정보나 경오보에서 계출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밝으신 하교를 고대합니다,
● 17세 사헌부대사헌 박소립(司憲府大司憲 朴素立) 경오보 1권 036
● 17세 함경도관찰사 박대립(咸鏡道觀察使 朴大立) 경오보 1권 036
休文님의 댓글
![]() |
休文 |
---|---|
작성일 |
숭정보(崇禎譜)에서 이관식(李寬植)의 사위로 생원(生員) 박중검(朴仲儉)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박중검의 내용에 “孫大立素立爲觀察使 贈爵 손대립소립위관찰사 증작” 이라고 하였습니다. “손자인 대립과 소립이 관찰사가 되어 작위가 추증되었다” 라는 뜻입니다.
즉 박중검은 함양박씨로 전의이씨 14세 이관식의 사위이므로 박중검은 15세이며, 박중검의 손자인 박대립과 박소립은 전의이씨 외후손으로 17세에 해당하며 또한 사촌형제가 되겠습니다. 1990년 전의이씨경오보에서는 외후손을 간략하게 하면서 박대립과 박소립을 생략하였습니다. 숭정보에서는 그 내용이 보입니다. 따라서 원래 1권 36페이지에 해당하는 박중검의 손자이므로 페이지를 그리 표시한 것입니다.
박중검(朴仲儉)-박세영(朴世榮)-박대립(朴大立) 1512 (중종 7) - 1584 (선조 17)
박중검(朴仲儉)-박세무(朴世茂)-박소립(朴素立) 1514 (중종 9) - 1582 (선조 15)
이관식(李寬植) ? ∼ ?
조선의 부마(駙馬), 본관은 전의(全義), 자(字)는 덕후(德厚), 호(號)는 양성재(養性齋).
대광 보국 숭록 대부 여천 부원군(大匡輔國崇祿大夫驪川府元君) 양경공(良敬公) 민여익[閔汝翼:1360(공민왕 9)∼1431(세종 13)]의 외손(外孫)이며 호조 좌랑(戶曹佐郞), 황해도 경력(黃海道經歷), 사재감 정(司宰監正), 수원부사(水原府使), 소윤(少尹)을 지낸 이성간(李成幹)의 아들이다.
정종[定宗:1357(공민왕 06) ∼ 1419(세종 01),공정 대왕(恭靖大王)] 대왕 제7녀(女)인 인천 군주(仁川郡主)를 하가(下嫁)하여 상(尙)하니 부마 도위(駙馬都尉)가 되었다.
1451년(문종 01) 2월 온양 군사(溫陽郡事)로 나아갔으며, 1460년(세조 06) 2월 감호관(監護官)으로 있었다. 1468년(세조 14) 1월 용인 현감(龍仁縣監)으로 재직하였다.
관직(官職)은 행(行) 담양 부사(潭陽府使)에 이르렀다. 담양부사 시절에 고을의 폐단을 일거(一擧)에 일소(一掃)하고, 연름(捐름) 교유(敎儒)하여 향풍(鄕風)이 크게 일어나게 하였고, 풍속(風俗)을 교화(敎化)하고 선정(善政)을 받들어 폈는데, 그 선정(善政)에 감화(感化)되어 백성[향인(鄕人)]들이 관직의 임기(任期)가 차서 천직[遷職:환유(還宥)]하게 되었을 때 거사비(去思碑)를 세웠다. 전라도 담양(潭陽)의 월산서원(月山書院)에 배향(配享)되었다.
이관식(李寬植)의 부인(夫人) 전주이씨(全州李氏)는 1431년(세종 13) 10월 인천 군주(仁川郡主)에 봉해졌고, 1872년(고종 09) 인천옹주(仁川翁主)로 개봉(改封)되었다.
[참고문헌] 朝鮮王朝實錄, 淸選考, 선원보(璿源譜)
※하가(下嫁) - 공주(公主)나 옹주(翁主)가 신하의 집안으로 시집감을 이르던 말. 하강(下降) cf) 이강(釐降) : 황제의 딸이 제후(諸侯)에게 하가(下嫁)하는 것. 이강(釐降) : 요(堯) 임금이 아황(娥皇)·여영(女英) 두 딸을 우순씨(虞舜氏)에게 시집보낸 것으로, 곧 황제의 딸이나 임금의 딸이 제후(諸侯)나 서민(庶民)에게 하가(下嫁)하는 것을 말함. 출합(出閤) : 왕자(王子)가 장성한 후에 사궁(私宮)을 짓고 나가서 살거나, 왕녀(王女)가 하가(下嫁)하는 것을 이름.
※상(尙) - 공주에게 장가듬. 공주(公主)를 취(娶)하는 것을 상주(尙主)라 하니, 제왕(帝王)이나 임금의 딸(女)을 높여서 취하지 못하고 상(尙)한다 하였다.
※감호관(監護官) - 왜인(倭人)이나 여진(女眞)의 사신을 감독하고 호송하던 관원. 곧 왜의 사신이나 여진 사신을 접대하는 관원을 말함. 감호관을 지낸 대표적인 인물은 사육신(死六臣) 하위지(河緯地), 영의정(領議政) 이극배(李克培) 등이 있다.
※연름(捐름) - 벼슬아치들의 보수(報酬)의 일정액을 떼어 자선(慈善)이나 공익(公益)을 위해 보태는 것을 말한다.
※교유(敎儒) - 유풍(儒風:유교의 풍습)을 가르쳐 인도하는 것을 말한다.
※월산서원(月山書院) = 월산사(月山祠)
※이관식(李寬植)의 생졸년이 1384(우왕 10) ∼ 1436(세종 18)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명백한 오기로 봄이 타당하다. 그 이유는 외조부인 민여익(閔汝翼)의 생졸년과 정종(定宗) 대왕의 생졸년, 부친 이성간의 활동연대(태종∼세종), 이관식의 친동생 이윤식(李允植)과 그의 장인 이인손[李仁孫:1395(태조 4)∼1463(세조 9)]의 생졸년, 이관식의 부인 인천 옹주(仁川翁主:정종의 7女)의 동모 형제(同母兄弟)들의 활동연대 및 생졸년을 살펴보면 이관식은 1410년대 전후에서 태어났음이 분명해진다. 덧붙여 공정 대왕(恭靖大王)의 4녀(女)인 고성 군주(高城君主:高城翁主로 改封됨)에게 장가들은 연성군(蓮城君) 김정경(金定卿)의 아들이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안산김씨(安山金氏)의 호평공(胡平公) 김한(金澣)은 1409년(태종 09)에 태어나 1485년(성종 16) 77세의 수(壽)를 누렸다.
정종의 후궁인 숙의(淑儀) 해평윤씨(海平尹氏)는 정종대왕의 5빈(嬪) 중의 한 사람이며 대사헌 윤방언(尹邦彦)의 딸이다. 1368년(공민왕 17) 1월 14일에 태어나 1417년(태종 17) 10월 1일 별세하였다. 4왕자 2옹주를 낳았는데 수도군(守道君:정종의 7남) · 임언군(林堰君:정종의 8남) · 석보군(石保君:정종의 9남) · 장천군(長川君:정종의 13남)의 4남과 인천옹주(仁川翁主:정종의 7녀) · 함안옹주(咸安翁主:정종의 8녀) 2녀를 두었다. 숙의의 묘소는 경기도 양주군 신혈면 독정리(고양시 신도읍 오금리에서 현재는 京畿道 高陽市 德陽區 梧琴洞로 변경) 매현 임좌원에 있다. 본래 숙의 해평윤씨 묘는 그의 딸인 인천옹주 묘소 위에 있었다.
지금의 보첩(譜牒)에서와 같이 생년이 1384년이라면 이관식의 부친 이성간은 1370년대에 태어나 10세가량에 이관식을 낳은 것이 되므로 이치에 맞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위의 생졸년은 신빙성이 결여되었다고 보여진다.
◆계보(系譜) [족보1권 34] 소윤공(少尹公) 성간(成幹)파
월천이한윤님의 댓글
![]() |
월천이한윤 |
---|---|
작성일 |
이왕섭일가님 반갑습니다. 말씀을 많이 들었습니다. 저 역시 전성후이 31세 한윤, 대사성공-11세 부원군(사자안자)-13세 진산군수공파(연자간자) 후인입니다. 자주 뵙기를 바랍니다.
불곰님의 댓글
![]() |
불곰 |
---|---|
작성일 |
1. 왕섭님! 잊지 않으시고 자세한 답글을 달아주시어 감시합니다.
2. 많은 공부가 되어 고맙습니다. 내내 강녕하세요.
두타산님의 댓글
![]() |
두타산 |
---|---|
작성일 |
왕섭일가님, 반갑습니다.
귀한 자료 접하게 되어 고맙습니다.
休文님의 댓글
![]() |
休文 |
---|---|
작성일 |
월천 이한윤 일가님, 덕규 일가님, 두타산 일가님..... 반갑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