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시제(時祭) 용어 유감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불곰 작성일10-04-02 20:17 조회420회 댓글0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시제(時祭) 용어 유감에 대하여

1. 안녕하세요? 청주의 典書公 21世孫 德圭입니다.

2. 안경소식(2010년 4월호→통권 제9호) 24쪽에 東俊님이 올리신

【시제(時祭) 용어 유감(有感)】에 대하여 소생의 우견(愚見)을 두서없이 말씀드리고저 합니다.

⑴ 귀견(貴見)대로 시제(時祭)는 사시제(四時祭)의 줄인 말로서, 일년에 네 번, 철마다 지내는 제사이고, 세일사(歲一祀)는 세일제(歲一祭)라고도 하며 일년에 한번 지내는 제사입니다.

⑵ 하오나 근래에 사시제(四時祭)는 없어진지 오래되어서 다음의 국어대사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제(時祭) 또는 사시제(四時祭)의 뜻이 본래와는 변질되어 세일사(歲一祀) 또는 세일제(歲一祭)와 같은 뜻으로 혼용(混用)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⑶ 시제(時祭) 또는 사시제(四時祭)는 없어진지 오래되어 사문화(死文化)된 축문만 아래 항목(祝文 例示)과 같이 축문집람(祝文集覽)등에 남아 있을 정도입니다.

⑷ 제안 하신 세향(歲享)이나 세사(歲祀)는 일반적으로 쓰고 있는

말이 아니므로 국어대사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말을 잘 쓰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 아닌가 샹각해 봅니다.

⑸【회계연도를 시제일로부터 다음 해 시제 전일(前日)까지로 한다】에 대하여는 아래 국어대사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하자(瑕疵)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옵니다.

⑹ 예시하신 【세천일제 예유중제(歲薦一祭 禮有中制)】는 사시제(四時祭) 축문이 아니옵고 세일사(歲一祀) 축문으로 사료되옵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 국어대사전(이희승 편저)

⑴ 시제(時祭)~~~

① 일년에 네 번, 철마다 지내는 종묘(宗廟)의 제사.

② 시향(時享)

 


⑵시향(時享)~~~

① 매년 음력 2월·5월·8월·11 월에 가묘(家廟)에 지내는 제사.

② 음력 10월에 5 대 이상의 조상의 산소에 가서 드리는 제사. 시사(時祀),.시제(時祭), 묘사(墓祠).

 


● 국립국어원 표준 국어대사전

⑴ 시제(時祭)~~~ =시향(時享)① 음력 2월, 5월, 8월, 11월에 가묘(家廟)에 지내는 제사. ≒묘사(墓祀)ㆍ시사(時祀)ㆍ시제(時祭).② 음력 10월에 5대 이상의 조상 무덤에 지내는 제사. ≒세일사ㆍ시사(時祀)ㆍ시제(時祭).ㆍ시향제.

 


⑵ 세일사(歲一祀)~~~ =시향(時享)

⑶ 묘사(墓祀) =묘제(墓祭) =시향(時享).

 


● 세일사(歲一祀) 축문 예시

 


1. 금이초목귀근지시 추유보본 예불감망 첨소 봉영 불승감모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향

(今以草木歸根之時 追惟報本 禮不敢忘 瞻掃 封塋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饗)

이제 초목의 기운이 뿌리로 돌아가는 계절을 맞이하여 조상님의 음덕을 추모하여 근본 에 보답하는 예를 감히 잊을 수 없어 묘역을 쓸고 봉분을 바라보니, 감동하여 사모하는 마음 이길 수 없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공경히 세사를 올리오니 흠향하 옵 소서.

 


2. 대서수원 유택상신 근이 세거일제 식진명천 상향

(代序雖遠 遺澤尙新 謹以 歲擧一祭 式陳明薦 尙 饗)

대수의 차례는 비록 오래되었으나 후세에 끼치신 은택이 더욱 새로워 우러러 사모하옵니 다. 삼가 해 마다 한 번 올리는 제사를 정성을 다해 정결게 고루 갖추어 올리오니 두루 흠향하시옵소서..

 


3. 세천일제 예유중제 이자상로 미증감모 근이 청작서수 공신 세사 상 향

(歲薦一祭 禮有中制 履玆霜露 彌增感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歲事 尙 饗)

1년에한 번 묘제를 올리는 예법이 중국에 그 제도가 있습니다. 서리와 이슬을 밟고 와 보니 그리운 마음이 더욱 더해집니다.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을 차려 공경을 다하여 세사를 드리오니 흠향하시길 바라옵니다.

 


4. 예제유한 증상이체 첨소 봉영 불승감모 근이 청작서수 경신 세일지천 상 향

(禮制有限 烝嘗已替 瞻掃 封塋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敬伸 歲一祗薦 尙 饗)

예에는 한계가 있는 법이어서 이미 제사(忌祭)는 폐하였으나, 묘역을 쓸고 봉분을 살펴 보니, 감동되어 사모하는 마음 금할 수 없나이다. 삼가 맑은 술과 조촐한 음식을 차려 올리옵고 공손히 제사의 예를 드리오니 흠향하시기 바라옵나이다.

 


5. 기서유역 상로기강 첨소 봉영 불승감모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향

(氣序流易 霜露旣降 瞻掃 封塋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饗)

계절의 순서가 바뀌어 서리와 이슬이 벌써 내렸습니다. 묘소를 찾아 와서 뵙고 손질하니 그리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조촐한 음식을 올려서 존경하는 마음 을 1년에 한 번 이나마 드리오니 바라건대 부디 흠향하시옵소서.

 


6. 기서유역 이자상로 첨소 봉영 불승감모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향

(氣序流易 履玆霜露 瞻掃 奉塋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饗)

절기가 바뀌어 이미 서리가 내렸아 옵기에 묘역을 쓸고 봉분을 바라보니, 그리워하는 마 음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이에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으로 세사를 올리오니 흠 향하옵 소서.

 


● 사시제)(四時祭) 축문 예시

 


1. 正月(정월)▶ 세률기경(歲律旣更) 해가 이미 새해로 바뀌어, 세월이 마침내 흘러 서 다시 왔다는 의미.

2. 寒食(한식)▶ 시유중춘 우로기강(時維仲春 雨露旣降) 때는 늦은 봄이 되니 비와 이슬이 이미 내렸습니다.

3. 秋夕(추석)▶ 시유중추 백로기강 (時維仲秋 白露旣降) 때는 늦가을이 되니 찬 이슬이 이미 내렸습니다.

4. 端午(단오)▶ 시물창무(時物暢茂) 만물이 잘 자라 무성하다는 의미.

 


● 이상과 같이 두서없이 말씀드렸습니다. 관용하여 주시고, 잘못 말씀드린 것이 있으면 댓글을 달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