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Re..문장공 에관한 또다른 기록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불곰 작성일10-02-21 00:51 조회493회 댓글0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1. 안녕하세요? 저는 청주에 사는 전서공 21世孫 德圭입니다.

 

2. 귀중한 국가기록 유산인 보물 제1089호 東人之文五・七을 공개하여 주시 어 고맙고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3. 저 또한 국가기록유산 홈피에서, 東人之文五・七을 복사할 수 없어 필사하 여 책으로 꾸미어 보관하고 있는데 때가 되면 종인들에게 배부할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4. 문장공의 아드님에 대한 기록에 대하여 말씀드립니다.

 

⑴ 萬曆譜(1574년 최초 발간) 이래로 족보에 전하여진 淸江公與安公璐書 에 ≪文莊不幸無後≫란 6字가 기록되어 왔습니다.

 


⑵ 현존하는 최고본인 英祖甲戌譜(1754년 발간) 文莊公편에 기록은 다음 과 같습니다.

 

子 彦昇 子孫以禮安爲貫不同譜

子 異 文莊公傳云子異 少頴悟登第仕至成均樂正先卒无子

 


⑶ 禮安派는 寶文閣 提學公 諱 翊을 始祖로 하여 4회에 걸쳐 禮安譜를 발간하여 오다, 三派 合譜인 丁卯譜(1927년)에 처음으로 文莊公의 子 彦昇의 아들(10世)로 착대(著代)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① 숙종 을묘보(肅宗 乙卯 譜→1675년)★ 총2권→現無傳

          ② 영조 갑신보(英祖 甲申譜→1764년)★ 총3권→現傳 最古本

          ③ 순조 임오보(純祖 壬午 譜→1822년)★ 총3권

          ④ 고종 무술보(高宗 戊戌 譜→1898년)★ 총8권

 


⑷ 東人之文五・七(1355년 발간)이 발견되어 1991년 9월 30일에 국가기 록 유산인 보물 제1089호로 지정되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子彦昇登辛丑科官 至成均樂正先卒無子

 


⑸ 󰡒文莊不幸無後󰡓에 관한 考證(2009년 7눨 15일 발행 天平 李漢國 著)에 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① 고려사 열전 李混條에는 󰡒子異, 少頴悟, 登第, 仕至成均樂正, 先卒無 子.󰡓라 하였으며,

② 1355년에 발간된 국가기록유산, 보물 제1089호 東人之文五・七의 李 政丞混六首條에 󰡒子彦昇, 登辛丑科, 官至成均樂正, 先卒無子󰡓라 는 새로운 고증 자료가 발견되어 󰡒異󰡓와 󰡒彦昇󰡓이 異名同人임 이 밣혀져

 


③ 2006년 발간한 전의이씨 효익공파보(孝翼公派譜)에는 󰡒子 彦昇 字 는 이(異)이며 丁亥(1287)生이다. 신축(1301)에 급제하여 성균 악정 을 역임 先卒無子󰡓라고 명시하였다.

 


④ 따라서 청강공(휘濟臣)이 󰡒彦昇󰡓과 󰡒異󰡓와의 관계에 언급하지 아니한 채 결론만을 안로공(安璐)에 보낸 서찰의 󰡒文莊不幸無後󰡓라 고 명시한 내용이 확실히 고증된 것이다.

 


⑤ 孝翼公派譜 : 전의이씨 신암공(휘俊民)파 화수회에서 2006년 12월 27일에 1・2・3권을 일질로 발간.

 


5. 소생의 바램

위와 같이 文莊公의 아드님인 휘 彦昇과 휘 異가 異名同人으로 밣혀졌음으로 화수회 본부 차원에서, 공식적인 인증 여부에 대한 검증절차를 추진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 [樂村] 문장공 에관한 또다른 기록에 대하여.. (2010-02-19 17:32)

b5bfc0ce.jpg 
 

李政承混六首


 

混字大初清州 全義縣藉父仟官至大將軍


 

混 忠敬王戊辰丑 承瓘牓丙科位至


 

贊成事 大右文判捴部壬子 以守政丞致


 

仕年六十二卒 于癸丑謚文荘自號蒙庵


<?xml:namespace prefix = v /> 

子彦昇登辛丑科官 至成均樂正先卒無子.

----------------------------------------


 

>> 윗글이 수록된 참고 자료 << 

동인지문오칠 (東人之文五七)

종목 : 보물 제1089호
분류 :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관판본
수량 : 3권1책
지정일 : 1991.09.30
소재지 : 서울 종로구 (삼성출판박물관)
소유자 : 김종규
관리자 : 김종규

이 책은 고려말기 문신이었던 최해(崔瀣,1288∼1340) 선생이 고려시대 선비들의 뛰어난 시문을 뽑아서 펴낸 시선집인『동인지문오칠』가운데 남아있는 권 7∼9이다.최해는 최치원의 후손으로, 문과에 급제한 후 원나라의 과거에도 급제하는 등 학문에 뛰어났다.성격이 곧고 강직하였고, 벼슬에서 물러난 후에는 책을 쓰는데 힘써『동인지문』외에도 문집으로『졸고천백』2책을 남겼다.『동인지문』은 최해의『동인지문서(序)』에서 시를 「오칠」, 문을 「천백 」, 변려문을 「사육」이라 하고, 이를 총괄하여 그 제목을『동인지문』이라 하였다.동인지문의 차례는 「오칠」, 「천백」, 「사육」의 순으로 구성되었고 총 권수는 25권으로 되어 있다.『동인지문오칠』은 신라 최치원으로부터 고려 충렬왕 때의 오한경, 홍간 등 시인들의 오언시와 칠언시를 선집하고, 비교와 해설을 붙여 고려말에 간행한 것이다.이『동인지문오칠』은 완질이 아니고 현재 남아있는 것도 전 ·후반부가 없어진 것이 있기는 하나,『동인지문오칠』로는 처음 발견된 것이어서 「오칠」의 구성형태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일 뿐더러 고려판각본으로서 고려문인의 시가 수록되어있는 만큼 문헌학, 한문학 연구의 자료임은 물론 인물에 대한 전기자료로서의 가치 또한 높이 평가된다.

(1355년 발간)
 


 

----------------------------------------------------------------------------------

지금까지 문장공 諱 混 에관한 기록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고려사절요를 통하여 알수있었는바

고려사절요에는  문장공의 아드님에관한 기록이...

李混의 字는 去華요 一字는 太初이니 全義縣人이다 元宗朝에 나이 十七歲로 登第하여 廣州叅軍에 選任되고 들어와서 國學學正에 補하였다 忠烈王 時에 累歷하여 僉議舍人 右副承旨가 되고 副知密直司事 文翰學士 承旨에 승진하여 同知司事를 加하였다 王이 일찍 耽羅民戶를 籍하여 內庫에 예속시키고자 하니 混이 不可하다고 極言하였으므로 王이 즐거워 하지 않았다 때에 近幸이 많이 使命을 받들고 백성을 소란케 하거늘 都堂이 말하기를 「西北界의 사람들은 性質이 暴悍하여 內旨로서 백성을 소란케 함은 不可하므로 이제부터는 마땅히 都評議司에 내려 司에서 都指揮使에 移牒하여도 또한 일을 處理(辦)할 수 있을 것입니다 驛吏가 도망하여 흩어짐은 진실로 傳遽( 驛送)의 번잡함에 말미암음이니 마땅히 都評議司를 經由하여 驛馬를 준 뒤에 行할 것이라」하니 近幸者들이 이를 미워하여 王께 호소하므로 王이 怒하여 巡馬官에게 命하여 堂吏 李紆를 잡아 그 의논을 선창한 자를 심문하니 紆가 말하기를 이 일은 다 내가 한 것입니다」라고 하였으므로 王이 더욱 怒하여 萬戶 高宗秀에게 命하여 반드시 정상을 얻고자 심히 고문을 하니 紆가 誣服하여 混을 지적한지라 混을 獄에 내리고 드디어 罷職하였다가 知密直司事 世子元賓으로 起用하여 密直司事 銓曹判書 集賢殿大學士 修國史에 올리고 이어 罷하였다가 다시 判密直司事로 起用하였다가 또 罷하였다 王이 左右에 이르기를 「人臣의 節操가 점점 예와 같지 않도다 옛적에 李混 尹 王缶가 銓選을 맡으매 寡人이 混의 弟 子和를 行首(首班)로 삼고자 하니 混이 사양하여 말하기를 殿下가 臣으로 不肖라 하시지 않고 銓曹에 待罪케 하고 臣의 弟를 行首로 삼으시면 사람들이 臣을 무엇이라 하겠나이까라고 하였고 또 王缶의 아들 安庇로 權務를 삼으매 王缶가 또한 말하기를 臣의 아들은 나이 어리고 臣이 또한 銓選을 맡았으매 敢히 받지 못하겠나이다 하고 再三 固辭하였는데 지금에 銓選을 맡은 자는 먼저 美官을 親戚에게 주어 寡人이 이를 알지 못하게 하거던 하물며 敢히 사양하겠느냐 이는 廉恥가 날로 없어지고 世道가 날로 떨어지는 所以라」고 하였다 王惟紹 宋邦英을 이미 죽이고 忠宣王이 國政을 오로지할 새 混으로써 僉議侍郞贊成事를 삼았다가 갑자기 中護로 고쳤다 忠宣王이 元에 있어 賀正使로 불러 이르른즉 더불어 選法을 의논하고 다시 官制를 定하였다 이에 密直 重房 內侍 三官 五軍이 모두 罷하게 되므로 失職者가 많이 원망하였다 混이 崔鈞 金元具 權準으로 더불어 忠宣王이 定한 바 官制 및 批判을 가지고 元에서 돌아오니 때에 宰樞들이 慈雲寺에 모였는데 어떤 사람이 匿名으로 投書하기를「中護 李混이 瀋陽王所에 나아가 選法을 의정하여 두 아들을 뽑아 올리고 그 나머지 천거한 바도 親戚과 古舊가 많아서 上을 속이고 私를 行하였으니 任用함이 마땅치 않다」고 하니 混이 크게 부끄러워하였다 忠宣王이 돌아오매 미쳐 國事는 모두 藝文館으로 하여금 奏하게 하였으므로 混을 大詞伯으로 拜하고 壁上三韓을 加하였는데 얼마 되지않아 淑妃의 모함한 바가 되어 淮州牧使로 내쳤고 또 禮州牧使로 내쳤다가 召還하여 僉議政丞을 拜하고 致仕하였다 混은 性品이 寬厚하여 일찍 鄭瑎 尹 王缶로 더불어 政房에 있으매 서로 推許하더니 하루는 말하기를「우리들이 사귄지 오랜지라 어찌 서로 허물을 말하지 않으리요」하고 混이 瑎에게 일러 말하기를「사람들이 말하기를 그대는 교묘하다고 한다」하고 또 王缶에게 일러 말하기를「사람들이 말하기를 그대는 스스로 높이기를 좋아한다고 하니 마땅히 이것을 고칠 것이라」고 하니 瑎가 곧 混에게 이르기를「사람들이 그대는 청렴하지 않다 하니 그런가」라고 하였다 混은 오랫동안 銓選을 맡았으며 性品이 또 청렴치 못한 故로 그 집이 富하매 散産하기를 힘썼고 賓客을 즐리고 琴 碁를 좋아하며 別業(莊)을 城南에 두어 號를 福山莊이라 하고 자주 往來하다가 卒하니 나이 六十一이요 文莊이라 謚하였다 詩文이 淸雅하니 長短句 若干篇이 世上에 行하였다 일찍 寧海로 내쳤는데 바다에 뜬 浮木(査)을 얻어 舞鼓를 만들어 지금에 이르도록 樂府에 傳한다 아들은 異니 어려서부터 穎悟하여 登第하고 벼슬이 成均樂正에 이르렀으나 먼저 卒하였으므로 아들은 없다...... 

 와같이 아드님 諱 異에관한 기록만 전해지는데  고려사절요(조선시대편찬)보다

 먼저 편찬된 동인지문(고려시대)에는 아드님 諱 彦昇에관한 기록이 있읍니다...


 

 >>>>>>>>>>>>>>>>>>>>>>>>>>>>>>>>>>>>>>>>>>>>>>>>>>>>>>>>>>>>>>>>>>>>>>>


 

고려사절요에 子異小穎悟登制仕至成均樂正先卒無子 ( 아들은 異니 어려서부터 穎悟하여 登第하고 벼슬이 成均樂正에 이르렀으나 먼저 卒하였으므로 아들은 없다)로 ..

동인지문에는子彦昇登辛丑科官 至成均樂正先卒無子 (아들은 彦昇이니 신축년에 과거에급제하고 벼슬이 成均樂正에 이르었으나 먼저 卒하였으므로 아들은 없다) 기록이

엇갈리니...


두분이 동일인이신지 ?? . 아니면,

아드님 두분이 모두 子孫이없이 먼저 돌아가신것(先卒無子)인지 ???

대종회의 식견이 있으신 일가분들께 고견으로 無知한 後孫의 의혹을 풀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