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훈련 도정(訓鍊都正)을 지낸 이순(李珣) 장군의 후손을 찾습니다

페이지 정보

休文 작성일23-05-19 11:55 조회132회 댓글0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훈련 도정(訓鍊都正)을 지낸 이순(李珣) 장군의 후손을 찾습니다.


서울, 인천, 시흥, 경기도 이천, 경기도 포천 등에 거주하는 후손들께서는 연락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연락처

010-8792-2585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순(李珣)의 계보]

이도(李棹:統合三韓開國翊贊 二等 功臣/三重大匡太師/全義李氏始祖)→이강(李康:精勇衛大將軍)→이수영(李秀英:兵部尙書)→이문경(李文景:千牛衛大將軍)→이윤관(李允寬:刑部侍郞)→이순(李順:保勝別將)→이천(李仟/李阡:鷹揚軍大將軍)→이자원(李子원:贈 大司成, 8세)→이언충(李彦충:政堂文學/文義公)→이광기(李光起:判少府事)→이원무(李元茂:開城尹)→이구(李龜:嘉善大夫 判漢城尹)→이승간(李承幹:慶尙左道兵馬都節制使)→이성전(李誠全:순천부승)→이삼즙(李三楫:사정)→이몽석(李夢石)→이순(李珣) 



이몽석(李夢石)

- 이순(李珣) 장군의 아버지

- 1468년(세조 14) 무자(戊子) 중시(重試) 갑과(甲科) 1[壯元]위(1/38)로 장원 급제(壯元及第)

- 좌리 원종 공신(佐理原從功臣) 2등(二等)으로 행(行) 경원 판관(慶源判官)을 역임



이순(李珣)

- 진도 군수(珍島郡守), 울산 군수(蔚山郡守), 창원 부사(昌原府使), 전라우도 수군 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 첨정(僉正),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 역임



==========================================================================


이순(李珣)

조선의 무신(武臣). 본관은 전의(全義). 자(字)는 세진(世珍).

1468년(세조 14) 무과(武科)에 장원급제(壯元及第)하여 경원 판관(慶源判官)을 지내고 좌리 원종 공신(佐理原從功臣)에 올라 참의(叅議)에 증직(贈職)된 이몽석(李夢石)의 아들이다. 1498년(연산군 4) 무오(戊午) 식년(式年) 문과에 급제하여 합천 군수(陜川郡守) 등을 지낸 진양정씨(晉陽鄭氏) 정침(鄭沈)과 전주이씨 종실 설성 감(雪城監) 이철정(李鐵丁)과 이순(李珣)과는 가까운 친척간이다. 이순의 처외조는 군수(郡守)와 부사(府使)를 지낸 홍맹손(洪孟孫)으로 석보군 이복생(李福生)의 사위이다. 이복생은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동생인데 선성군의 아들이 설성 감(=설성부수) 이철정이 된다. 정침의 부인은 진양하씨 하중부(河仲溥)의 딸이다. 진양하씨가 이순의 칠촌 숙모가 된다. 하중부는 경상도 도절제사(慶尙道都節制使)와 의정부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양정공(襄靖公) 하경복(河敬復)의 손자이고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강장공(剛莊公) 하한(河漢)의 아들로 충청도 수군 절도사(行忠淸道水軍節度使)와 경상좌도 병마 절도사(慶尙左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낸 경절공(敬節公) 하숙부(河叔溥)의 손위 형이기도 하다.



무과(武科)로 벼슬에 들어섰다.

1494년(성종 25) 내금위(內禁衛)로서 표범(豹)을 사로잡아 왕에게 바쳐 상(賞)을 받았다.

1501년(연산군 7) 4월에 진도 군수(珍島郡守)로 부임하였다. 1503년(연산군 9) 9월 예조 판서(禮曹判書) 이세좌(李世佐)가 양로연(養老宴)에서 연산군(燕山君)의 하사주(下賜酒)를 엎질러 쏟아 죄를 입어 유배를 당한 일로 인하여 그의 숙부인 좌의정(左議政) 이극균(李克均)이 1504년 윤달 4월에 연좌되어서 인동(仁同)으로 유배(流配)되었다가 사사(賜死)되었는데 이극균과 교유(交遊;交結)를 맺고 있었다 하여 직첩(職牒)이 환수(還收)되고 유배(流配) 당할 뻔하였으나 이전에 그의 군관(軍官)으로 있었을 뿐이었으므로 용서받았으며 같은해 11월 진도 군수에서 내자시 첨정(內資寺僉正)으로 옮겨 제수(除授)되었다.

1507년(중종 02) 9월 경력(經歷)으로 있던 중에 이과(李顆)의 옥사(獄事)로 인하여 갇혔다가(囚) 방면(放免)되었다.

1509년(중종 04) 3월 당상관(堂上官)에 가자(加資)되고 4월에 절충 장군(折衝將軍) 염포 만호(鹽浦萬戶)에 제수되었다가 얼마 뒤 경직(京職)인 부정(副正)으로 전임되었고, 도적을 잡은 공으로 5월에 선공감 정(繕工監正)에 올랐다가 행검(行檢)이 없다하여 개정을 요구한 대간(臺諫)의 청(請)으로 교체되었다.

외직(外職)으로 변장(邊將)인 평안도 우후(平安道虞候)로 나갔다가 돌아가서 어머니를 봉양할 수 있도록 상언(上言)하여 정사(呈辭:사직서를 올림)하고 1512년(중종 07) 5월 교체되면서 후임자가 부임하여 오기 전에 자리를 비우고 귀가(歸家)하니, 사헌부에서 군정(軍政)을 엄하게 하여 죄를 주어야 한다고 탄핵하였으나 중종(中宗)이 그의 어머니가 늙고 병들어 빨리 만나려고 하여 교대하지 않고 자리를 비우고 돌아온 것이니 그 정상과 법률을 참작하여 죄를 감하여 충군(充軍)을 면(免)하게 해주었다.

1513년(중종 08) 1월 장흥 부사(長興府使)에 제수되었는데, 대간(臺諫)으로부터 행검(行儉:점잖고 바른 몸가짐과 행실)과 박행(薄行:무게가 없고 점잖지 못한 경박한 행동)이 없는 사람이어서 큰 지방에는 합당하지 못하니 교체하라는 개정을 여러 차례 요구받았다. 1514년(중종 09) 11월 만포진 첨사(滿浦鎭僉使)로 있다가 또 다시 병든 어머니를 만나본다는 핑계를 하고 진(鎭)을 비워두고 갔다하여 사헌부에서 죄주기를 청하니, 중종이 그 어머니의 병의 진위(眞僞)여부를 알아보고 처벌하더라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윤허하지 않다가 거듭 개정을 요구하니 교체되었다.

1517년(중종 12) 11월 병조 판서(兵曹判書) 고형산(高荊山)이 이순(李珣)의 계모(繼母) 야로 송씨(冶爐宋氏)의 나이가 많지 않으니, 다시 그를 불러서 등용해야 한다고 아뢰니 중종임금이 서반(西班)의 상당한 벼슬에 서용하도록 하였다.

1518년(중종 13) 7월 울산 군수(蔚山郡守)로 있다가 체직되었고 1522년(중종 17)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재직하였다. 1524년(중종 19) 1월 함경 북도 순변사(咸鏡北道巡邊使) 조윤손(曹閏孫)의 군중(軍中) 선봉장(先鋒將)으로 야인(野人)을 쫓을 때에 5명을 잡아 진중(陣中)으로 보내기도 하였다. 1528년(중종 23) 9월 야인(野人)을 정벌하려 북정(北征)할 때, 당상관(堂上官)으로서 변장(邊將)인 방윤(方倫), 유성(柳星), 신옥형(申玉衡), 방호의(方好義), 김의형(金義亨) 등과 시위(侍衛:호위)하는 제장(諸將)이 되어 갔다. 1529년(중종 24) 1월 전라우도 수군 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에 제수되니, 간원(諫院)이 전에 수령이었을 때 삼가지 않은 일이 많이 있었는데 수사가 되니 물의가 매우 온편하지 못하다 하여 개정하기를 요구하여 2월에 체직되었고, 같은 해 11월 변장(邊將)으로서 조방장(助防將)이 되어 야인(野人)의 사변에 대비하도록 평안도(平安道) 강계(江界)에 있는 욋괴(外叱怪=夞怪)를 맡아 적(賊)으로부터 방어하였다. 1534년(중종 29) 또 다시 전라우도 수군 절도사(全羅右道水軍節度使)가 되니, 사헌부에서 수사(水使)는 첨사(僉使)와 만호(萬戶) 등을 포폄(褒貶)하는 관리인데 그의 성질이 탐욕스럽고 횡포하여 본디 물론(物論)이 있는 자라 하여 개정을 요구하니 교체되었다. 1536년(중종 31) 제포 첨사(薺浦僉使)가 되었으나 제포는 왜인이 왕래하는 곳이고 물화(物貨)의 집결지인데 진(鎭)을 맡아 책임을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 하여 체직을 요구하니 문신으로 교체되었다.

첨정(僉正),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내고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에 이르렀다.

경상도(慶尙道) 사천(泗川)에 쾌재정(快哉亭)을 짓고 아호정사(牙湖精舍)를 세웠다.

묘소는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구호리(慶尙南道 泗川市 杻東面 舊湖里) 산40번지에 있다.



전실은 문과(文科) 호조 좌랑(戶曹佐郞) 이두(李杜)의 딸이고, 후실은 통정 대부(通政大夫) 파평윤씨(坡平尹氏) 윤거(尹舉)의 딸로서 첨의 정승(僉議政丞)을 지낸 문현공(文顯公) 윤보(尹珤)의 7대손이다.

1남 1녀를 두니 아들은 세자 익위사 세마(世子翊衛司洗馬:종9품),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종8품)를 지낸 이홍진(李弘縉)인데,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호조 참판(戶曹叅判)을 지낸 의령남씨(宜寧南氏) 남세건(南世健)의 사위이다.

딸은 생원(生員)과 현감을 지낸 강릉김씨(江陵金氏) 김흥례(金興禮)에게 출가하였으니 김흥례는 가선 대부(嘉善大夫) 경상우도 병마 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낸 김언경(金彦庚)의 손자이며 평안도 병마 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낸 김호(金瑚)의 아들이다.


손자는 승지(承旨)에 증직된 이경성(李景星), 무과(武科)로 우봉 현령(牛峯縣令)과 옥천 군수(沃川郡守) 등을 지낸 이경윤(李景潤), 장악원 정(掌樂院正)에 증직된 이경청(李景清)이고 첫째 손녀는 밀양박씨(密陽朴氏) 충정공(忠靖公) 박숭원(朴崇元)의 전실(前室)이나 무후(无后)하고 둘째 손녀는 김진경(金震卿)의 전실(前室)로 출가하였으나 무후(无后)하였다. 김진경은 사어(司禦) 김옥견(金玉堅)의 증손자이며 참봉(參奉) 김택(金澤)의 손자로 현령(縣令) 김난종(金蘭宗)의 아들이다.


이순의 사위 김흥례(金興禮)는 딸 둘을 두니, 문과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평산신씨(平山申氏) 신여종(申汝悰)과 문과 부사(府使) 해주정씨(海州鄭氏) 정신(鄭愼)에게 출가하였다. 정신의 아들이 충의공(忠毅公) 농포(農圃) 정문부(鄭文孚)이다.


이순의 증손자는 북병사(北兵使) 이충길(李忠吉), 호조 좌랑(戶曹佐郞) 이효길(李孝吉), 병조 참의(兵曹叅議)에 증직된 이제길(李悌吉)이다. 이순의 증손녀는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아들 성문준(成文濬)의 처남인 함안조씨(咸安趙氏) 첨정(僉正) 조의도(趙毅道), 평산신씨(平山申氏)로 공조 판서(工曹判書)와 판부사를 지내고 선무원종공신에 올라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에 봉해진 충경공(忠景公) 신점(申點)의 아들인 강서 현령(江西縣令) 신순일(申純一), 영의정(領議政) 허적(許積)의 5촌 종숙(從叔)으로 호조 판서(戶曹判書)에 증직된 양천허씨(陽川許氏) 허신(許信), 거창신씨(居昌愼氏) 우의정(右議政) 신수근(愼守勤)의 현손이며 신희(愼憙)의 아들인 신창문(愼昌門), 함안조씨(咸安趙氏) 충의공(忠毅公) 대소헌(大笑軒) 조종도(趙宗道)의 아들인 판관(判官) 조영해(趙英海), 진주강씨(晉州姜氏) 우의정(右議政) 강사상(姜士尙)의 손자이며 승지(承旨) 강서(姜緖)의 아들인 군수(郡守) 강홍덕(姜弘德), 한산이씨(韓山李氏) 문과 승문원 권지 부정자(承文院權知副正字) 이경백(李慶伯), 안동권씨(安東權氏) 추밀공파(樞密公派)로 판서(判書)를 지낸 충정공(忠定公) 권징(權徵)의 셋째 아들이자 형조 참판(刑曹叅判) 권첩(權怗)의 손위 형님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심액(沈詻)과 오성부원군(鰲城府院君)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의 아들 이성남(李星男)의 매부(妹夫)인 권이(權怡)에게 각각 출가하였다. 특히 이경백(李慶伯:1561∼1580)은 대북(大北)의 영수로 이름난 광국공신(光國功臣) 아성부원군(鵝城府院君) 영의정(領議政) 이산해(李山海)의 첫째 아들이기도 하다.


이순의 증손자 이충길(1561∼1624)은 자가 신백(藎伯)으로 1588년(선조 21) 무자(戊子) 식년(式年) 무과(武科) 을과(乙科) 5위로 급제하여 함경북도 병마 절도사(咸鏡北道兵馬節度使)를 지냈다. 문과출신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양천허씨(陽川許氏) 악록(岳麓) 허성(許筬)과는 사돈이다. 즉 이충길의 둘째 딸이 허성의 아들인 허보(許보)에게 출가한 것이다. 허보는 1610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허성은 초당(草堂) 허엽(許曄)의 아들이며, 하곡(荷谷) 허봉(許篈)과 교산(蛟山) 허균(許筠)의 형이고,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오빠이다.


이충길은 연일정씨(延日鄭氏) 우의정(右議政) 정유성(鄭維城)의 처외조(妻外祖)이기도 하는데 이충길의 첫째 사위가 전주이씨(全州李氏) 시중공파 후손인 이구함(李久涵)이고, 이구함의 사위가 정유성이 되기 때문이다.


이충길(李忠吉)의 아버지 이경윤(李景潤)과 고성이씨(固城李氏) 이제(李磾)에게 출가한 동래정씨(東萊鄭氏)는 이종사촌간인데, 이제의 아들이 1624년 반란을 일으킨 이괄(李适)이다. 즉 이충길과 이괄은 인척(姻戚)간이 된다. 이 때문에 1624년 이괄의 난에 연좌(緣坐)되어 죽임을 당하면서 집안이 몰락하였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권벌(權橃)의 충재집(冲齋集), 김구(金絿)의 자암집(自菴集), 진도군읍지(珍島郡邑誌) 서울대규장각 17427, 장흥군읍지(長興郡邑誌) 환적(宦蹟) 서울대규장각 10805, 문화류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1565년 간행), 전의이씨성보(全義李氏姓譜:1634년 간행), 선원록(璿源錄:1680년 간행), 진양하씨족보(晉陽河氏族譜:1719년 간행), 파평윤씨세보(坡平尹氏世譜:1830년 간행), 강릉김씨세보(江陵金氏世譜), 의령남씨세보(宜寧南氏世譜), 양천허씨세보(陽川許氏世譜)


※ 관포당(灌圃堂) 어득강[魚得江:1470년(성종 1) ∼ 1550년(명종 5)]의 관포시집(灌圃詩集)에 ‘牙湖精舍’, ‘李世珍牙湖精舍 次橡亭’이라는 시(詩)가 전해지고 호음(湖陰) 정사룡[鄭士龍:1491년(성종 22) ∼ 1570년(선조 3)]의 호음잡고(湖陰雜稿)에 ‘題世珍牙湖精舍 用魚子游韻’ 이라는 내용의 시가 전해진다. 정사룡은 이순(李珣)의 5촌 종숙모(從叔母)의 아들이다. 정사룡의 아버지 정광보(鄭光輔)가 이삼격(李三格)의 사위이고, 이순의 아버지 이몽석(李夢石)이 이삼즙(李三楫)의 아들이다. 이삼즙과 이삼격은 형제사이로 이삼즙이 형이고 이삼격이 아우이다.









[이순(李珣)과 정사룡(鄭士龍)의 관계]

이성전(李誠全)→이삼즙(李三楫)→이몽석(李夢石)→이순(李珣)

이성전(李誠全)→이삼격(李三格)→정광보(鄭光輔)→정사룡(鄭士龍)

​

※ 세진(世珍)은 이순(李珣)의 자(字)이다.



※ 쾌재정(快哉亭)과 아호정사(牙湖精舍)는 현재 경상남도 사천시 축동면 구호리 563-1 번지에 있었다.


※ 『진양지(晋陽誌)』
○ 쾌재정(快哉亭) : 장암(場巖)에 있다. 첨정(僉正) 이순(李珣)이 지은 것으로 일명 아호정사(牙湖精舍)라고 하였다. 앞에는 바다의 포구에 임해 있고, 동쪽으로는 사천현(泗川縣)을 굽어볼 수 있다. 임진왜란 뒤에 빈터만 남아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