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성균관 자료. 2.

페이지 정보

이준설 작성일22-03-24 13:42 조회119회 댓글0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질문]
지방을 세로로 쓸 때 오른쪽에서왼쪽으로 써야 맞는가요,
묘소나 결혼식 등 남자가 왼쪽이라부친을 왼쪽에 모친을 오른쪽에 썼는데 지인이 말씀하시기를 모시기는 그렇게 모셨으나 지방을 쓸 때는 오른쪽부터 글을시작하며 오른쪽에 부친을 왼쪽에 모친을 써야 한다고 하여 헷갈리네요, 옛날 묘지 상석에도 보면 오른쪽에서글이 시작되며 부친을 먼저 쓰고 왼쪽에 모친을 쓴걸 보면 지인의 말씀이 맞는 것 같네요, 물론 실제묘는 왼쪽이 부친이고, 오른쪽이 모친이란 건 알고 있습니다. 지방을쓸 때 부친과 모친의 좌우 측 어떻게 써야 되는지 답변 부탁 드립니다,
 
[답변]
▶書法의 방위와 埋葬의 방위는 다르기 때문에 紙榜과 비석은 하나에 두분 이상을 쓰면 混同이 생긴다. 서법의 방위와 매장의 방위가 다르기 때문에 混同을 막으려면 지방과 비석은 하나에 한 분씩 쓰는 것이 맞다.
▶다시 설명하면 묘지는 아래 그림 ①처럼 右가 上이고, 左가 下이며, 書面(비석이나 지방, 등의 면)에 글씨를 적을 때는 아래 그림 ②의 A와 그림 ⑤의 C에 上文을 적고, B와 D에 下文을 적는다. 그러므로 서면에 글씨를 적을 때는 아래 그림(③, ④, ⑥, ⑦)처럼 各書(각각 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

 

 

墓地

 

 

右

 

 

 

 

左

 

 

考

妣

 

 

某官某公之墓

 

 

 

 

某人某氏之墓

 

 

 

 

 

④

 

③

 

 

 

 

②

 

書面(碑石)

서면(비석)

書面(碑石)

 

 

右

 

 

 

 

左

 

 

 

 

 

B

 

 

 

A

 

 

 

考

妣

 

妣

考

 

 

 

某官某公之墓

 

 

 

 

某人某氏之墓

 

 

 

 

 

某人某氏祔左

 

 

 

某官某公之墓

 

 

 

 

 

 

 

 

 

 

 

 

 

 

 

 

 

 

 

 

 

 

 

 

⑦

 

⑥

 

 

⑤

 

書面(紙榜)

서면(지방)

書面(紙榜)

 

 

右

 

 

 

 

左

 

 

 

 

 

D

 

 

 

C

 

 

 

考

妣

 

妣

考

 

 

 

顯考某官府君神位

 

 

 

 

顯妣某人某氏神位

 

 

 

 

 

顯妣某人某氏神位

 

 

 

顯考某官府君神位

 

 

 

  
  
  
  
  
  
  
  
   
http://www.skk.or.kr/skin/bbs_list.php?boardT=v&board_data=aWR4PTE3MTQmc3RhcnRQYWdlPTAmbGlzdE5vPTU4NSZ0YWJsZT1yZWRfYmJzX2RhdGFfcW5hJmNvZGU9cW5hJnNlYXJjaF9pdGVtPSZzZWFyY2hfb3JkZXI9||&search_items=Y29kZT1xbmEmXyZzZWFyY2hfaXRlbT0mXyZzZWFyY2hfb3JkZXI9Jl8mdW5zaW5nY29kZTE9MTU5NjQ0MTAyOSZfJnVuc2luZ2NvZGUyPTE1OTY0NDEyODcmXyZ1bnNpbmdjb2RlMz0mXyZjYXRlPSZfJnB3ZD0=||

[질문]
부인들이 제사를 지내며 4배를 하면서 힘들어 하는데 반드시 4배를 하여야하나요.
 

 
 

[답변]
▶ 亞獻。主婦或兄弟之長者及長男爲之。如初獻儀而無祝。執事佐進魚炙。若主婦爲之則四拜。令
 



內執事佐之。
 
아헌. 主婦 혹은 兄弟의 長者나 長男이 한다. 初獻의 儀와 같은데, 祝은 없다. 執事의 도움으로

 



 魚炙을 올린다. 만약 主婦가 한다면 四拜한다. 內執事로 하여금 도우게 한다.

▶ 南塘曰禮拜成於再婦人四拜以當再拜故此云再拜
㨿禮成數而言實則包四拜之禮在其中矣他凡言婦人再拜者皆倣此
 
南塘(韓元震)이 말하기를, 禮拜는 재배에서 완성된다. 부인의 四拜가 (남자의) 再拜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재배라고 한 것은 禮에 근거하여 成數로 말한 것이며 실제로는 四拜를 포함하는 禮가 그 가운데 있다.
 



다른 곳에서 ‘부인이 재배한다’라고 한 것은 모두 이를 모방한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