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왕의도시 공주 ( 고려 태조왕건과 공신이도 )

페이지 정보

이병술 작성일16-09-23 09:22 조회135회 댓글1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365-170층탑석)   '왕의 도시' 공주



207D65344D547CE40FF24E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26651F3F576A6CAD1B2F6D




상왕산록 우전차를
큰샘물로 우려내어
로 시작하는 웅진공주가 입니다.


지난해 만들었던 공주가에서
몇구절 빼는 대신 차를 내는 그림을 그렸습니다.


내용은 좋을지 몰라도
글자가 너무 많이 차지하고 있어서
현대인들의 급한 심성에 덜 맞다
하는 조언이 있어서입니다.


그리고 한가지 추가한 것이 있습니다.


공주에는 오년여 전 웅진동 한옥마을에
뜻있는 인사들이 마음을 모아서
공주를 다녀간 고려와 조선의 왕을
기리는 석비를 세운 것이 있습니다.


고려때는 현종임금이 거란의 침략을 피해
나주로 가는 길에 공주에서 며칠 머물렀고
조선 때는 인조임금이 이괄의 난을 피해
공주까지 도망쳐 와서 공산성의 쌍수 나무 아래
고단한 몸을 쉬다가 난이 진압되었다
는 소리를 들었다 합니다.


두 왕이 모두 난리를 피해
어가를 움직인 것에 반해
공주에 왕이 행차를 하면서
군대를 이끌고 상대를 정벌하기 위하여
지나간 분이 바로 고려 태조 왕건입니다.


태조 왕건이 군대를 이끌고
견훤을 물리치러 남하하던 중
공주에 도착하였을 때는 비가 많이 와서
강물이 불어 나 도강을 하기가 어려웠나 봅니다.


그 때 공주에 배를 가지고 있던
이치라는 이가 위험을 무릅쓰고
왕건의 부대가 안전하게 도강을 하도록 도왔고
왕건은 그 공을 높이 사서
이치의 이름을 이도李棹로 고치게 하고
고려의 개국 공신으로 삼았다 합니다. 


현종이나 인조 보다는 왕건의 공주 행차가
더 의미있는 일이 될 수 도 있겠다 싶어
웅진백제 오대왕 뒤에 고려왕건과
공신.이도 를 추가하기로 한 것입니다.


훗날 고려 왕조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일부 왕씨들이 공주의 상왕동으로 숨어 들어와
몸을 숨기고 살았다는 이야기도 있으니
어찌 되었든 공주는 고려 왕건을
언급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입니다.


물론 개성이나 평양 한양등 무수한 왕들이
살았던 수도에서는 굳이 몇명의 왕 이름을
거론할 필요조차 없는 일이겠지만
웅진 백제 오대왕 이후로 왕건과 현종 인조가
공주를 다녀 갔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현종 인조를 이야기할 때 왕건도 같이
말해 져야 하는 것이라 생각하여 추가한 것입니다.


아무리 허름한 집도 임금이 하루 머물다 가면
귀한 집이 되는 것이란 이야기를
숙종과 갈처사 이야기에서도 살펴 보듯이
왕들이 다녀간 공주는
가히 '왕의 도시'라 불려도 손색이 없을 것입니다.


임금이 어가를 옮기면
파천 또는 몽진이라 하고
머물고 떠난 곳을 주필지라 유식하게 말하는데
사정이야 어찌 되었건
현종과 인조는 엄밀히 말하면
왕성을 버리고 도망친 모양새이고
왕건은 삼한일통을 위한 공주의 통과이므로
기왕지사 세워놓은 현종 인조 기념비 옆에
왕건의 비도 추가하자 하는 의견도 내봅니다.


비 오시는 날 중얼거림은 이 무슨 뜻인가요.


246A1B3854B106F636500B  
 
공주 상왕산 원효사 심우실에서
 
나무석가모니불






 
출처 :원효사 원문보기▶   글쓴이 : 원효

댓글 0

추천하기 0
스크랩0 카페 블로그 메일
인쇄

댓글목록

이병술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병술
작성일 16-09-23 09:30

원효사는 공주시내 우금티터널우측에 자리잡고 있는 절입니다. 이곳 주지스님 해월스님께서 
태사공이도 할아버지 업적을 고려태조왕건과 함께 게재하는  문구를 웅진공주가에 넣고 한편,
 공주한옥마을에  태조왕건비를 세우자는 제안을 하고 있습니다. 비를 세우게 되면 당연히 그 비문에 태사공할아버지의  업적이  들어가지 않겠습니까? 해월스님의 전화는 011-9808-2334입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