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사적현창위원회활동과 향후 추진방향
페이지 정보
이병술 작성일16-08-26 05:24 조회109회 댓글0건본문
선조사적현창위원회 활동과 향후 추진 방향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1. 태사공의 ‘금강이섭’ 역사기록을 공주학에 편입
○ 현재 공주학강좌 ‘공주의 역사’에 ⌈백제시대의 공주, 충청 감영시대의 공주, 공주의 근대도시발달과 철도⌉로 구성하 여 고려시대의 역사는 빠져 있음. 공주시지, 금강지에도 고 려태조왕건과 태사공의 금강이섭에 관한 역사기록이 없음
◌ 그러나 최근 “고려태조왕건과 공주” 라는 글이 934년 태사 공의 금강이섭과 관련하여 공주향토문화연구회원(공주시내 원효사주지 혜월스님)으로 부터 발표됨 (웅진공주가 엮음)
○ ‘고려개국공신태사공 이도와 공주금강’ 이란 주제로 한 학습 을 공주대공주학연구원에서 실시( 2016.8.7 윤용혁교수)
○ 공주향토사연구지인 고마나루(계간지) 가을호에 공주의 인물 로 태사공이도할아버지를 다루기로 함 (공주대 윤용혁 교수)
○ ‘고려개국공신 태사공이도의 재조명’(가칭)이란 세미나를 개 최하고 관련 자료도 수집,공주학연구원 아카이브에 제공
(태사공 이도 연구회모임을 만들어 재원마련 등 협의 중)
2. 태사공과 효정공의 업적에 대한 현창과 세종학 편입
◌ 이성복원을 위한 발굴조사요청( 2017년 예산에 반영), 태사 공묘소의 문화재지정 추진
○ 효정공이 받으신 가전충효세수인경(세종대왕어필)의 인문학 적 의의와 스토리텔링(2016.8.6 공주대 유기준교수)
○ 전의이씨인물배출과 역사기록(2016.8.7 공주대 이해준교수)
◌ 세종학 설립에 대비한 화수회(선조현창위원회)차원의 준비
▸전의이씨관련 역사적 자료정리, 소책자발간, 세종시에 제공
▸세종시장면담추진 → 세종시평생교육진흥원장 이 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