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가(四友歌)와 단가(短歌)
페이지 정보
봉황 작성일15-03-28 08:55 조회118회 댓글0건본문
사우가(四友歌)와 단가(短歌)
사우가
(소나무)
바위에 서있는 솔 어엿하여 반갑 구나
풍상을 격었 어도 여윈 흔적 전혀 없네
어찌해 봄빛을 쪼여도 그 모습이 같은가
(국화)
동쪽 울밑에 심은 국화 귀한 줄을 몰라 주네
봄빛을 마다하고 서리 맞고
오오라 청고한 내 벗은 너 말고는 없나니
(매화)
많은 꽃 중에서 매화를 심은 뜻은
눈 속에 눈빛으로 피어나기 때문이라
더더욱 그윽한 향기는 귀하고도 귀하네
(대나무)
백설이 잦은 날에 대를 보려 창을 여니
온갖 꽃 다 저버리고 대 숲만이 푸르구나
때마침 부는 청풍을 반기면서 춤추네
단가
장부가 해야 할일 아는가 모르는가
효제충신 빼놓고서 무엇이 또 있는가
사람이 해야 할일이 그밖에는 없으리
남산에 많던 솔이 어디로 다 갔는가
난후의 도끼질이 구렇게도 심했던가
가다려 좋은 때 되면 다시 볼수 없겠지
창밖에 가는 비 오고 뜰 아래 제비 나네
귀양살이 깊은 회포 어찌해 끝이 없나
제비가 나는 것 보며 깊은 한숨 지으네
귀양살이 적적하여 공량(空樑) 제비로 벗을 하네
제비들은 종일토록 무슨 말을 나누는가
오오라 내 품은 서름을 그네들이 아누나
사람의 정든 벗은 명월 밖에 또 있는가
천리를 마다않고 간 곳마다 따라오니
오오라 반가운 옛 친구 다만 그대 뿐이리
설월에 매화를 보려 잔을 잡고 창을 여니
눈 속에 시든 매화 향기만은 그윽하네
나비가 이 향기를 알면 애절하게 여기리
(漢昌 현대문역)
사우가는 석탄공이 회령 유배지에서 지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1700년대에 김시찬 이의철 심호 윤식등에 의해서 그 가치가 논의 되었으나 그후 근 300년동안 묻여 있다가 1974년에 이상비 교수에 의해서재 발견이되어 윤고산의 오우가와 비교 논술 되었고 권영철 임민혁 교수 등의 평가 논문이 있다.
사우가
(소나무)
바위에 서있는 솔 어엿하여 반갑 구나
풍상을 격었 어도 여윈 흔적 전혀 없네
어찌해 봄빛을 쪼여도 그 모습이 같은가
(국화)
동쪽 울밑에 심은 국화 귀한 줄을 몰라 주네
봄빛을 마다하고 서리 맞고
오오라 청고한 내 벗은 너 말고는 없나니
(매화)
많은 꽃 중에서 매화를 심은 뜻은
눈 속에 눈빛으로 피어나기 때문이라
더더욱 그윽한 향기는 귀하고도 귀하네
(대나무)
백설이 잦은 날에 대를 보려 창을 여니
온갖 꽃 다 저버리고 대 숲만이 푸르구나
때마침 부는 청풍을 반기면서 춤추네
단가
장부가 해야 할일 아는가 모르는가
효제충신 빼놓고서 무엇이 또 있는가
사람이 해야 할일이 그밖에는 없으리
남산에 많던 솔이 어디로 다 갔는가
난후의 도끼질이 구렇게도 심했던가
가다려 좋은 때 되면 다시 볼수 없겠지
창밖에 가는 비 오고 뜰 아래 제비 나네
귀양살이 깊은 회포 어찌해 끝이 없나
제비가 나는 것 보며 깊은 한숨 지으네
귀양살이 적적하여 공량(空樑) 제비로 벗을 하네
제비들은 종일토록 무슨 말을 나누는가
오오라 내 품은 서름을 그네들이 아누나
사람의 정든 벗은 명월 밖에 또 있는가
천리를 마다않고 간 곳마다 따라오니
오오라 반가운 옛 친구 다만 그대 뿐이리
설월에 매화를 보려 잔을 잡고 창을 여니
눈 속에 시든 매화 향기만은 그윽하네
나비가 이 향기를 알면 애절하게 여기리
(漢昌 현대문역)
사우가는 석탄공이 회령 유배지에서 지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1700년대에 김시찬 이의철 심호 윤식등에 의해서 그 가치가 논의 되었으나 그후 근 300년동안 묻여 있다가 1974년에 이상비 교수에 의해서재 발견이되어 윤고산의 오우가와 비교 논술 되었고 권영철 임민혁 교수 등의 평가 논문이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