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예안이씨화수회

  • 회원가입
  • 로그인
    • 글자
    • 확대하기
    • 축소하기
전체 메뉴보기

전체메뉴

닫기

  • 회수회소개
    • 회장 인사말
    • 화수회 연혁
    • 회수회 회칙
    • 회수회본부임원
    • 3파회장단·45계파회장
    • 각시도 화수회 회장단
    • 찾아오시는길
  • 문중의역사
    • 본관 및 시조의 유래
    • 전의이씨 본원
    • 문장공(예안이씨) 연원
    • 집성촌 현황
    • 전의·예안이씨 통계
    • 사적 및 문헌
    • 항렬표
  • 인터넷족보
    • 전의이씨 분파 계통도
    • 전의이씨 세계도
    • 문장공(예안이씨) 세계도
    • 족보검색
    • 관리자메뉴
    • 족보등재신청서 작성요령
    • 신청서 작성견본
    • 등재신청서 양식(갑지,을지)
    • 족보등재 인터넷접수
  • 문중자료실
    • 전의이씨 현조인물
    • 문장공(예안이씨) 인물
    • 전의이씨 문과방목자료
    • 문장공(예안이씨)
      조선시대 과거급제자 명단
    • 현대문중인물
    • 포토앨범
    • 인경소식
    • 문서자료실
  • 전통자료실
    • 계촌법
    • 고금관작대조표
    • 관직표
    • 동서양 연대대조표
    • 간지대조표
    • 관혼상제
    • 성씨의 역사
    • 이름의 유래
    • 족보상식
    • 방위도
    • 24절기
    • 경조문
    • 제사상차리는법
    • 지방작성법
  •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 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열린마당

  • 새소식
  • 공지사항
  • 이도 심중매원
  • 블로그 및 카페모음
  • 삼풍참사 & 영암고기숙사사건
  • 자유게시판
  • 업데이트소식
  • 홈페이지 건의사항

자유게시판

  • 홈
  • 열린마당
  • 자유게시판

매년 음10.2. 시조추향제 홀기및 역문

페이지 정보

월천이한윤 작성일09-04-01 21:46 조회354회 댓글8건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본문

忽記 原文及 譯文

在位者序立再拜 차례로서서 전원再拜
獻官及諸執事관수세手 헌관과 執事들은 손을씻고 닦으시요
(陳設)諸執事分立于床石左右 집사들을 상석 좌우로 정열
進香爐香盒 향로와 향합을 올리고
設酒甁盞盤於架上進床石左執事奉祭需次第陳設 집사는 제수를 받들어 차례로 진설
降復位 제자리로 돌아 가시요
直日諭告 직일유고 諭고할유
(降神)初獻升焚香再拜 초헌은 분향후 再拜하고
進궤香案前 향안앞에나가 꿇어앉으시요
司樽執甁궤于初獻之右 司樽은 술병을 받들고 초헌우측에 꿇어 앉으시요
奠爵取盞盤궤于初獻之左 전작은 잔을 잔대에 받쳐 초헌좌측에 꿇어 앉으시요
初獻受之 초헌은 잔대를 받고
司樽斟酒 사준은 술을 따르고
初獻左執盤右執盞三灌于地 초헌은 왼손으로 잔대를 오른손으로 잔을 받들어
땅에 세번에 술을 전부 따르시오
奠爵受之反置架上 전작은 잔대를 받아서 상위에 놓고

(參神)獻官以下皆再拜 헌관이하 전원再拜하시요

(初獻)初獻進궤香案前 초헌은 향안앞에 나가서 꿇어앉고
司樽執甁궤于初獻之右 사준은 술병을 받들고 초헌우측에 꿇어앉고
奠爵詣祖考位前奉盞盤退궤于初獻之左 전작은할아버님신위에올릴잔을잔대에 받처
초헌좌측에 꿇어앉고
初獻受之 초헌은 잔을 받고
司樽斟酒 사준은 술을 따르고
奠爵受之奠于故處 전작은 술잔을 받들어 신위앞에 올리시요
祖비位前亦如之 할머님 신위에도 같은 방법으로 반복하시요(죽은어미비)
奠爵詣祖考位前奉盞盤退궤于初獻之左 전작은조부님신위앞에올린술잔을받들고돌아가
초헌좌측에꿇어앉고
初獻左執盤右執盞三除于地 왼손으로 잔대를 오른손으로 술잔을 받들어서 땅에세번 제주하시요
奠爵受之奠于故處 전작은 술잔을 받들어 신위앞에 올리시요
祖비位前亦如之 할머님 신위에도 같은방법으로 반복 하시요
執事奉肉炙奠于匙시접之南 집사는 육적을 받들어 시접 남쪽에 올리고
啓飯蓋揷匙整著 降復位 메뚜껑을 열고 삽시 정저 제자리로 돌아가고
在位者皆俯伏 전원부복하시요
大祝進궤初獻之左東向讀祝畢興復位 초헌좌측에나가서동쪽을향하여꿇어앉아
독축한뒤제자리로돌아가고
初獻再拜退復位
執事撤酒進盞盤故處退復位 집사는 철주하고 잔을상위에 올려놓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요

세;차는수건세,관;손씻을관,于갈우,盞술잔잔,升오를승,궤;꿇어앉을궤,
詣나아갈예,灌물댈관,접;널평상접,盖덮을개



(亞獻)亞獻進跪香案前 아헌은 향안앞에 나가 굻어앉고
司樽執甁跪于亞獻之右 사준은 술병을 받들고 亞獻우측에 꿇어 앉고
奠爵 詣祖考位前奉盞盤退跪于亞獻之左
亞獻受之 아헌은 잔을 받고
司樽斟酒
奠爵受之奠于故處 전작은 술잔을 받들어 신위앞에 올리시요
祖妣位前亦如之
奠爵詣祖考位前奉盞盤退詭于亞獻之左
亞獻左執盤右執盞三除于地 왼손으로 잔대를 오른손으로 술잔을 받들어서 땅에세번 제주하시요
奠爵受之奠于故處
祖妣位前亦如之 할머님 신위에도 같은방법으로 반복 하시요
執事奉鷄炙奠于匙楪之南
亞獻再拜 退復位
執事撤酒進盞盤故處退復位 집사는 철주하고 잔을상위에 올려놓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요

(終獻)終獻進跪香案前
司樽執甁跪于終獻之右
奠爵詣祖考位前奉盞盤退詭于終獻之左
終獻受之
司樽斟酒
奠爵受之奠于故處 전작은 술잔을 받들어 신위앞에 올리시요
祖妣位前亦如之
奠爵詣祖考位前奉盞盤退詭于終獻之左
終獻左執盤 右執盞三除于地
奠爵受之奠于故處 전작은 술잔을 받들어 신위앞에 올리시요
祖妣位前亦如之 할머님 신위에도 같은방법으로 반복 하시요
執事奉魚炙奠于匙楪之南
終獻再拜 退復位 제자리로 돌아가시요
執事撤羹進熟冷扱匙西柄降復位 집사는 갱을 물리고 숭냉을 올린 후총이
서쪽으로가도록숫가락을걸치고
俯伏少傾 (전원)가볍게 부복하시요
(辭神)執事升下匙合飯盖 降復位 숫가락을내리고 메뚜껑을덮은후에 제자리로돌아가고
在位者皆再拜
大祝升西階告禮成 대축은 서쪽축에서 예성을 고하고
仍詣焚祝 분축을 하시요
有事詣長老請監饌 유사는 장노께 감찬을 청하시요
三獻大祝就席飮福 삼헌과 대축은 자리에앉아 음복
諸執事撤床以退 遂祭后土 執事들은 철상하고 물리시요

亦또역,仍거듭잉,肉炙육적,斟잔질할짐,羹 국갱,扱걷어가질급

댓글목록

월천이한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월천이한윤
작성일 09-04-01 22:05

한문 몇자가 자꾸 깨저서 조금 미완성입니다만 참고 바랍니다. 꿀어앉을 궤자가 없는 모양입니다.
혹시 완전한 문안은 우리 전의이씨 카페로 오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http://cafe.daum.net/junuilee 로 들어 오셔서 가입하시고 들어 오십시요.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09-04-03 17:44

궤" 跪 "자를 다른 데서 복사해 왔지요...

월천이한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월천이한윤
작성일 09-04-04 01:18

《Re》이준설 님 ,
준설형님 저는 궤자가 없어서 자꾸 깨어저서 아주 오랫동안 애를 먹고 또 먹었습니다만 어떻게 "궤"자를
올려 놓으셨는지 신기하기만 합니다. 언제 한가롭게 만나뵙게되면 한수 가르처 주십시요. 기대가 큽니다.
그리고 위에 한글로 된것은 한문이 없어 깨어지는 것인데 궤자처럼
글자를 올려 주십시요. 관수세수의 수자 같은거 말입니다. 부탁해요.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09-04-04 10:32

월천님 수고가 많아요..한번 시도해보겠습니다..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09-04-04 10:57

《Re》이준설 님 ,...그 궤자는 naver의 한자사전에서 찾은 것이지요..

이준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이준설
작성일 09-04-04 11:08

《Re》盥水帨手...월천님의 카페에 완전한 한자를 다올려놓으셨던데..그 걸 그냥 복사해 와도 되는군요..naver한자에서도 물론  복사되고요..匙楪...이제 다 됐지요?  그럼..

월천이한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월천이한윤
작성일 09-04-07 02:14

《Re》이준설 님 ,
아이고 형님 복사해서 수정삭제를 않받아 주네요. 요정도로 공부들 하는데 참고로 하게 게시해 놓아두는
수밖에 없나봐요.  수정삭제가 댓글이 2개이상의 글은 안된다고 하니말입니다. 그냥 형님과 제가한 미완성이 더 보기좋아요.

월천이한윤님의 댓글

profile_image 월천이한윤
작성일 09-05-15 09:48

俯伏少傾 의 해석을 "가볍게 부복하시요"을  잘못 직역하였습니다.  이를 정정하여 (조상님앞이니까)
의역하여 "경건하게 부복하시요"로 정정합니다.

  • 다음글
  • 이전글
  • 목록
  • 개인정보처리방침
  • 찾아오시는길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 21 북한연구소 410호 (화수회본부 신축으로 이전)
전 화 : 02)2247-4273, 팩스 : 02)2247-4279
연락처 : 010)4604-0838(회장 이춘화)
Copyright ©2025 전의·예안이씨화수회. All rights reserved.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